▲ 겨울철 '통풍', 고통이 더 심한 까닭은
[김승혜 기자]‘통풍’ 환자의 열에 아홉이상이 남성이며, 남성 환자는 여성에 견줘 10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는 통풍은 염증성 질환으로, 몸 안에 요산이 지나치게 많아진 것이 원인이다.

6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통풍 진료기록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기준 남성 환자는 28만2998명으로 여성(2만6358명)보다 10.7배 많았다. 특히 30대 남성은 여성의 22.2배나 더 많은 진료를 받았다”고 밝혔다.

인구 10만만명당 진료인원도 남성 1133명, 여성 107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10.6배 많았다.

통풍 진료인원은 2010년 22만2864명에서 지난해 30만9356명으로 연평균 8.5%씩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진료비도 2010년 395억원에서 지난해 594억원으로 연평균 10.8%씩 늘었다.

몸안에서 요산이 많이 만들어지거나 요산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을 섭취할 경우, 신장에서 요산이 제대로 배설되지 않을 때 혈중 요산수치가 상승한다.

요산의 대사과정에 이상이 있거나 비만이나 고혈압, 고지혈증, 탄산음료 등이 요산 수치 상승을 초진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술은 몸안에서 요산이 많이 만들어지게 하고, 신장으로 요산이 배설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통풍은 몸안에 요산수치가 높다고 통증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피검사에서 높은 요산수치가 나타나도 이 가운데 5% 가량만 전형적인 통풍 증상을 보인다.

40~60세 남성의 경우 술 마신 다음날 엄지발가락에 매우 심한 통증과 발적, 종창이 발생한는 '급성 통풍성 관절염'이 나타나기도 한다. 급성 통풍은 7~10일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통증이 사라진다. 이는 혈중 요산수치가 갑자기 증가하거나 감소할 때 유발되며 음주와 수술, 단식, 급격한 체중감량, 과식, 과로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이같은 급성 통증의 간격이 짧아지고 통증의 기간이 오래 지속돼 여러 관절로 진행되면 만성 결절성 통풍이 된다. 이 때는 간헐기에도 심하지 않은 통증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며, 요산의 결정체에 의해 형성된 결절(토파이)이 몸에 나타나게 된다. 보통 첫 발작이 있은 후 10년 정도 지나면 생기게 된다.

증상 없이 요산 수치가 높을 경우 요산이 많이 함유된 음식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

급성 통풍성 관절염은 치료를 하지 않아도 개선되지만 심한 통증은 소염진통제나 콜키신, 스테로이드 등을 사용해 치료하는 것이 좋다. 통증이 있는 관절은 절대 휴식이 필요하다.

간헐기 통풍이나 만성 결절성 통풍은 요산저하제를 사용해 치료하고, 소량의 소연진통제나 콜키신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통풍은 식이요법과 엄격히 실행해도 어느정도 감소한다. 통풍환자가 요산저하제를 복용하고 있다면 요산이 많이 포함된 음식에 대한 엄격한 제한보다는 성인병을 일으키는 음식에 대한 조절이 더 시급하다.

통풍도 성인병의 일종이므로 비만과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과 연관이 많다, 통풍환자들은 이런 성인병의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성인병은 몸 안에서 요산을 많이 만드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등 푸른 생선(고등어 등)이나 시금치 등을 조심하기 보다는 기름진 음식을 조심하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다.

특히 술은 몸 안에서 요산을 많이 만들게 하고, 소변으로 요산이 배설되는 것을 방해한다. 요산의 원인 물질인 퓨린이 많이 든 음식은 맥주와 막걸리 등 발효주, 고기의 내장부위, 정어리 등 등푸른 생선과 멸치, 새우 등이다.

특히 맥주의 경우 퓨린 함량이 높은데다 체내에서 분해될때 요산을 생성하고, 배출도 방해하기 때문에 통풍과 상극이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요산이 많이 든 음식보다 기름지거나 당이 많아 비만을 유발하는 음식이 더 위험하다.

특히 팔다리가 가늘고 배가 나온 '거미형 체형'일 경우 통풍 위험성이 2배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도 나와 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