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혜 기자] 의학계에 '비만의 역설'이 잇따르고 있다.

만성질환자나 중증 환자의 경우 뚱뚱한 사람이 더 오래 산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고 치매 환자에게도 비만의 역설은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화제다.

최근 위암수술후 살찐 환자의 생존율이 저체중이나 정상체중인 사람보다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당뇨·고혈압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지만 중환자나 만성질환자는 과체중일 경우 정상체중보다 예후가 좋다는 기존의 보고들을 입증하는 셈이다.

서울성모병원 위암팀 박재명·송교영·이한희 교수팀은 13일 "지난 2000~2008년 위절제술을 한 위암환자 1905명의 체중과 예후관계를 수술전·후로 나눠 분석한 결과 두 경우 모두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과체중군이 저체중 혹은 정상체중군보다 5년생존율이 높았다"고 밝혔다.

체질량지수는 키와 몸무게를 이용해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측정법으로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연구팀은 세계보건기구 기준에 따라 체질량지수가 18.5 kg/m2 미만이면 저체중, 18.5-24.9 kg/m2이면 정상체중, 25.0 kg/m2 이상을 과체중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수술전 체질량지수에 따른 5년생존율은 저체중군 69.1%, 정상체중군 74.2%, 과체중군 84.7%로 각각 나타났다.

수술 1년후 전체환자중 체중이 확인된 1418명의 5년생존율은 저체중군 67.5%, 정상체중군 83.6%, 과체중군 93.6%로 수술후 체질량지수가 생존률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수술전 저체중군 환자수는 121명(6.4%), 과체중군은 445명(23.4%) 이었으나 수술 1년후는 저체중군 303명(21.4%), 과체중군 98명(6.9%)에 불과해 위절제술후 뚜렷한 체중 감소를 보였다.

연구팀은 환자 나이·성별·수술종류·위암병기 등 보정 분석 결과 수술 1년후 과체중 환자가 정상체중보다 사망률이 의미있게 낮아졌으며 위암 환자의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 예후인자임이 검증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수술 1년후 과체중군은 전체생존률뿐 아니라 무재발 생존율과 질병관련 생존율도 저체중이나 정상체중군보다 높았다고 덧붙였다.

송교영 교수는 “위암 환자는 수술후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고 이에따라 영양학적인 요구량이 많기 때문에 체질량지수가 높으면 생존율도 높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연구결과에 따라 암환자의 수술전 뿐만아닌 수술후 적극적인 영양관리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재명 교수는 “체질량지수가 높으면 특정 호르몬·효소 등의 발현이 올라가 생존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임상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러한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기초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유럽암학회 공식저널(European Journal of Cancer 2016;52:129-137, IF 5.417) 2015년 10월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