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기업부실·가계부채…주요 위험요소로 손꼽아

 
[김선숙 기자]금융 전문가 10명 중 4명이 1~3년 내에 국내 금융 시스템에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은 국내 금융시스템의 잠재 위험요인은 '중국 경기둔화'와 '기업 부실위험 증가', '가계부채', '저성장·저물가 고착화'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에서 위험이 현실화할 가능성은 크지 않았지만 앞으로 1∼3년 이내엔 위험 발생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이 작다는 의견보다 많았다.

한국은행은 4월 6일부터 20일까지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 7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국내 금융시스템의 주요 위험요인(복수응답)으로는 '중국 경기 둔화'(73%)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기업 부실위험 증가'(59%), '가계부채'(54%), '저성장·저물가 기조 고착화'(51%) 등의 순이었다.

이 가운데 발생 가능성이 큰 위험 요소에 대해서는 저성장·저물가 기조 고착화와 기업 부실 위험 증가가 꼽혔다. 또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도에서는 가계부채와 중국 경기 둔화, 기업 부실 위험 증가 등의 답변이 우세했다.

작년 10월의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미국 금리정상화'(72%→38%)가 크게 줄며 주요 위험요인(50% 이상 응답)에서 제외됐다.

반면 '기업 부실위험 증가'라는 응답은 59%에 달해 작년 10월(32%) 조사 때의 2배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급증했다.

이는 장기 경기 침체와 수요 부진으로 인해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최근 조선·해운 등 불황 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이 추진 중인 점 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경기 둔화'(90%→73%)와 '가계부채'(62%→54%)를 꼽은 응답은 6개월 전보다 줄었다.

기관별로 보면 국내 은행 직원은 '중국 경기 둔화'(80%), '기업 부실위험 증가'(75%)를 주요 위험요인으로 꼽았지만 비은행 금융기관 직원은 '가계부채'(88%)와 '기업 부실위험 증가'(75%)라고 답했다.

앞으로 1년 내의 단기에 금융시스템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다'는 응답이 49%로, '높다'(15%)보다 많았다.

반면 1∼3년의 중기에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은 '높다'는 응답이 40%로 '낮다'는 응답(19%)보다 많았다.

향후 3년간 금융시스템 안정성 신뢰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3%가 '보통'이라고 답했고 '높다'는 33%, '낮다'는 14%였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68개 금융회사에서 총 78명이 참여했다. 국내 은행 20명, 비은행 금융회사 16명, 주식 채권 외환 파생 등 금융시장 참가자 32명, 해외 금융회사 내 한국투자 담당자 10명이다.

응답회사별로 살펴보면 국내 은행 응답자는 '중국 경기 둔화'라는 답변이 80%로 가장 많았고 기업 부실 위험 증가(75%), 가계부채 문제(60%), 저성장·저물가 기조 고착화(60%) 등도 주요 리스크로 인식했다.

 

반면 비은행 금융회사 응답자는 88%가 가계 부채 문제를 꼽았고, 해외 조사 대상자는 중국 경기 둔화라는 응답이 90%로 가장 높았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