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급 종류별 근로자수 현황
[이미영 기자]500대 기업 근로자의 44.8%는 이미 업무·직무의 능력과 난이도에 따라 기본급을 결정하는 직능급 또는 직무급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기업들이 기본급 인상률 차등 제도 도입, 성과급 비중 확대 등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어 직무능력 및 성과 중심의 임금 체계는 더 확대될 전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7일 발표한 '500대 기업 임금체계 현황 및 애로요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4월 기준으로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170개 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 35만9428명 가운데 기본급이 호봉급인 근로자는 15만5723명으로 43.3%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능급인 근로자는 12만2246명(34.1%), 직무급인 근로자는 3만8537명(10.7%)으로 총 44.8%를 차지했다. 기타 기본급인 근로자는 4만2742명(11.9%)이었다.

직종별로 주된 기본급을 살펴보면, 사무직은 직능급(53.6%) 및 직무급(18.9%), 연구직은 호봉급(49.9%) 및 직능급(27.5%), 생산직은 호봉급(78.8%), 판매·서비스직은 호봉급(54.3%) 및 직능급(24.5%)이 많았다.

총임금 중 성과급 비중은 '10% 미만'이 43.9%(15만7763명)로 나타나 가장 많았다. '10~20% 미만'은 30.3%(10만8806명), '20~30% 미만'은 14.3%(5만1504명)로 뒤를 이었다.

응답 기업의 평균 성과급 비중은 14.5%로 국내 100인 이상 사업장의 평균 성과급 비중인 5.8%보다 1.5배 높았다.

현행 임금체계의 문제점으로는 절반 이상이 '성과가 달라도 보상 수준이 비슷해 무임승차자 발생'(50.8%)을 꼽았다.

또 '직무별 임금차등이 어려워 연구인력 등 고급인력 유치에 난항'(19.4%), '글로벌 경쟁력 확보의 어려움'(8.8%) 등도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글로벌 경쟁력을 위해 지향하는 기본급 체계를 묻자 사무직은 직무급(51.8%), 연구직은 직능급(47.9%), 생산직은 직능급(42.5%), 판매·서비스직은 직능급(52.1%)이 가장 많았다.

전경련 측은 "정부에서는 직무급 도입을 권장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직종에 따라 도입이 상대적으로 쉽고 순환 근무에 쉬운 직능급을 선호하기도 한다"고 분석했다.

기업들이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임금체계 개선 사항은 '기본급 인상률 차등 제도 도입'(30.6%), '임금에 연공성을 줄이고 성과급 비중을 확대'(27.6%), '업무의 중요성․난이도를 임금 수준에 반영'(21.2%) 등 순이었다.

임금체계 개편에 있어서 어려움은 '인사평가의 공정성 확보'(50.6%)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뒤를 이어 '근로자와 합의'(37.6%), '동종․경쟁업체들의 소극적 태도'(3.5%) 등이었다.

임금체계 개편 관련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으로는 '업종․직무별 평균임금, 임금체계 등 정보 제공‘(37.6%), '고령자법 적용 사업장에 임금체계 개편 의무 법제화’(22.4%), '공공․금융업 중심의 선도적인 임금체계 개편‘(21.2%) 등을 꼽았다.

응답 기업 170개사 중 호봉급이 있는 곳은 118개사였다.

유지 이유로는 '기존 관행상 유지'(39.0%), '노조의 호봉급 폐지 반대'(24.6%), '호봉급을 대신할 대안 부재'(15.3%) 등이 꼽혔고, 이로 인해 '장기근속자에 대한 고용유지 부담'(50.8%), '근로자 성과 관리의 어려움'(28.0%) 등을 문제점으로 대답했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주요 대기업은 직능급․직무급 도입 비율이 이미 절반에 가까운 수준(44.8%)이며 기본급 인상률 차등 제도 도입과 성과급 비중 확대 등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며 "많은 대기업이 직능급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만큼 기업 상황에 맞게 임금체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