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일보 편집국장
 “백척간두진일보 시방세계현전신(百尺竿頭進一步 十方世界現全身, 까마득한 절벽 끝에 서서 한 걸음 내디디면 새로운 세계가 열린다)”

지난달 23일 대선불출마를 선언하면서 김무성 한나라당 전 대표가 한 말이다.

그러면서 김 전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은 국민과 새누리당을 배신했다. 헌법을 심대하게 위반했다. 헌법을 위반한 대통령은 탄핵을 받아야 한다”며 “지금 야당이 잔머리를 굴리는데 새로운 보수를 만들고 국민에게 책임지는 의미에서 새누리당 내에서 탄핵 발의를 앞장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던 그가 박근혜 대통령의 3차 담화 이후 ‘탄핵 회군’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달 30일 대통령의 3차 담화 후 이전과는 180도 다른 언행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국민이 요구하는 하야나 퇴진은 헌법적 절차가 아니기에 탄핵 외엔 다른 방법이 없다'던 기존 입장과는 달리 "4월말 퇴임이 결정되면 굳이 탄핵으로 갈 필요가 없다(1일)"고 한발 물러선 것이다.

이에 대해 정두언 전 의원은 2일 “그 사람은 30시간 법칙을 항상 지키지 않느냐”며 “탄핵이 부결되면 새누리당 비박계가 똥바가지를 뒤집어 쓸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정 전 의원은 “탄핵이 부결될 경우 비박계가 그걸 어떻게 감당하겠나, 화염병이 날아올 것”이라며 “대통령이 공을 국회에 던졌는데 비박계가 공을 대통령에게 다시 던졌다”고 덧붙였다.

그렇다면 왜 그는 마음을 바꿨을까

김 전 대표의 이 같은 행보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탄핵 동력 상실과 탄핵으로 인한 역풍 부담을 김 전 대표 입장 변화의 주된 이유로 꼽고 있다. 보수층에서 "이만하면 됐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자 발을 뺀 것이라는 견해다. 하지만 대선 불출마라는 최후의 보루까지 꺼냈다가 돌연 회군을 결정한 것은 이것만으로 설명이 부족하다는 게 일반적인 시선이다.

그 때문에 다른 셈법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예를 들어 김 전 대표가 불출마 당시 제시한 개헌과 관련지어 내각제 개헌을 추진한 뒤 실권을 쥔 국무총리를 염두에 둔 포석이 아니냐는 주장이다. 이를 놓고 친박계와 모종의 '딜'을 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는 지난달 18,19일 정진석 원내대표의 중재로 김 전 대표와 최경환 의원이 비공개 연쇄 회동을 가진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주류들 사이에서 이같은 추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정권 재창출도 친박과 김 전 대표가 다시 손을 맞잡는 고리가 됐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실제로 대선 후보로 나서지 않겠다는 것이지 개헌을 통해 총리는 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김 전 대표가 '친문과 친박을 빼놓고는 다 연대할 수 있다'고 했다는 점, 구체적으로 박근혜 대통령은 아웃이고 더불어민주당과는 연대할 수 없고, 국민의당과는 연대가 가능하다는 말이 그가 '탄핵 회군'의 이유라는 것이다.

한 정치 평론가는 "대권 불출마는 그저 정치적 제스처로 해석된다"며 "개헌 후 차기 총리를 염두에 둔 게 아닌가 한다. 약점 잡힌 게 아니라면 해석되지 않는 행보"라고 말했다.

지금 김무성은 1990년 정치적 스승이라 말한 YS의 3당 합당과 함께 내각제 개헌을 햡의하고 파기시킨 16년전을 되새김질 하고 있지 않나 싶다 .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