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일보 대기자]탄핵으로 마감하는 '병신년' 박근혜 대통령의  1년은  '고집'로 일관하다 '동네북' 신세로 전락한 해였다.

지난 10월 말 최순실을 주축으로 한 국정 농단 의혹이 불거지고 9일 결국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됨에 따라 박 대통령은 헌정사에 가장 치욕스러운 대통령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한해의 마지막 페이지를 남겨둔 31일, '세월호 참사 당일 기억이 나지 않는다'는 말로  또 한번 온 국민을 참담하게 했다. 그리고 이날 그는 “2016년 한해는 국민께 송구스러웠다”고 짧은 송년사로 대신했다.

2016년 1월, 32년 만의 폭설·강풍으로 제주도가 철저하게 고립되는 사건으로 시작됐다. 그때만 하더라도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이슈가 터져나오는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을 것 같다"고 한 어느 시민이 푸념처럼 그 누구도 세계의 웃음거리가 된 사건이 이 나라에서 터질 것이라고 예견하지 못했다.

그리고 '선거의 여왕'은 4.13 총선을 그리면서 자신만의 '불통정치', '독선정치'를 이어갔다.

"계속 국회로부터 외면당한다면 국민들이 직접 나설 수밖에 없을 것"(1월19일 국무회의), "국민에게 희망을 줄 일은 하지 않고 지지해달라면 어쩌자는 것이냐"(2월24일 국민경제자문회의),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정치권 주장은 공허하다"(3월15일 국무회의), "국회에서 번번이 가로막히는 현실에 국민들 가슴은 미어질 것"(4월12일 국무회의) 등은 이른바 경제·민생 입법을 반대하는 야당을 겨냥한 메시지를던졌다. 그리고 '표적공천'으로 민심을 외면했다.

그리고 4월, 야당의 이견은 '불필요한 정쟁', 측근 감찰은 '국기를 흔드는 일', 2선후퇴 요구는 '법률에 없는 용어'로 치환됐고 '격퇴 대상'으로 여긴 박근혜는 몰락했다. 그러나 이것은 예고편에 불과했다.

이렇듯 일방통행식 국정은 4·13 총선 '참패'로 귀결됐지만, 이후에도 '상시 청문회법' 공포 거부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 강행 등 박 대통령 기조에 큰 차이가 없었다.

"안보 문제에 있어서는 여야를 막론하고 하나가 돼야 할 것"(4월18일 수석비서관회의) 등 언급이 이어졌다.

유난히 더운 여름이 예고된 6월, 여전히 여당 과반이었던 19대 국회에서는 테러방지법 처리 강행, 개성공단 전면 중단 등 조치가 일사천리로 진행됐고 야당 반대는 묵살됐다. '소수 야당'은 수차례 박 대통령의 심판 대상으로 거론됐다.

그리고 그는 "20대 국회에서 국민이 바라는 상생의 국회는 요원해 보인다"(9월24일 장·차관 워크숍)면서 협치(協治)에 대한 부정적 심경도 밝혔다.

그리고 9월 12일, 경북 경주시 일대에서 진도 5.8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후 여진은 끊임없이 계속 이어지고 있고 그동안 한반도 지역을 '지진 안전지대'로 인식하던 국민들은 불안에 떨 수밖에 없었다.

그때만 하더라도 국민은 사상 초유의 대통령 게이트를 예상하지 못했다.

결국 10월 한 종편의 태블릿PC로 온국민이 패닉에 빠지는 사건은 발생했고 최순실 등 비선실세에 의해 대한민국의 국정이 철저하게 농단당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국민적인 분노의 촛불이 전국을 뒤덮었다.

촛불은 '송박영신'을 외치며 오늘도 타오르고 있다.

그리고 많은 국민들은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는 장면, 국정을 농단한 비선실세들이 죄수복을 입고 감옥으로 향하는 모습을 그리며 한해를 마무리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