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영 기자]‘단군 이래 최대 개발 사업’으로 불리다가 2013년 좌초된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역세권) 개발 사업이 4년만에 다시 되살아 난다

서울시는 7일 중구 봉래동과 용산구 한강로 일대 약 349만㎡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일대를 아우르는 '용산 광역중심 미래비전 및 실현전략 수립' 용역을 공고했다고 밝혔다.

시는 시비 2억 9천여만원을 들여 다음 달부터 연말까지 이뤄지는 이 연구용역을 통해 ▲ 용산 위상과 미래 비전 ▲ 지역 특성과 미래 비전을 반영한 용산 지구단위계획 관리 방향 ▲ 국제업무지구 등 용산역 일대 거점 조성 방향 ▲ 전문가·관련 기관 논의 체계 등 용산 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청사진을 그릴 방침이다. 용역비는 2억 9000여만원으로 연말에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이 용역은 용산구가 진행 중인 '용산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수립 용역'과 코레일이 추진하는 '용산역세권 개발 기본 구상 및 사업 타당성 등 조사 용역'을 망라하는 것이다.

용산 지역은 역사적으로는 일제 강점기 경부선을 중심으로 군사 기지, 일본인 거주지, 역전 인근 유곽이 모여 있던 곳이다.

용산 지구단위계획은 2001년 처음 결정된 후 2010년 한 차례 변경됐다.

그러나 이후 미군 부대 이전에 따른 용산공원 조성이 가시화됨에 따라 이를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또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이른바 '한강 르네상스'의 하나로 추진했지만, 이후 수년째 지지부진한 용산 국제업무지구도 그동안 바뀐 상황이 고려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시 관계자는 "용산 지구단위계획에서 정비하는 부분, 서울역·용산역의 철도 기능에 대한 고민, 국제업무지구, 용산공원 이전 등 용산 지역 전체에 대한 개발 방향을 정리하는 용역"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이를 통해 용산공원 조성에 따른 지구단위계획의 큰 방향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만초천, 옛길, 철도병원, 근현대 건축물 등 용산 일대 역사문화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는다.

특히 기존 한강대로 위주 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원효·청파로 일대도 활성화해 동서 지역 간 단절을 극복할 방침이다.

2013년 이후 지지부진한 용산역 일대 국제업무지구 개발 방향과 전략도 마련된다.

시는 외국 기업 유치 등 국제적 업무 기능과 생활 주거지 기능을 꼼꼼히 따져 주변 지역과의 역할 분담 방안을 찾는다. 특히 사업이 처음 구상되던 때와는 달리 강남구 삼성동에도 대규모 국제업무지구가 개발되는 만큼, 다른 지역과 차별화할 수 있는 수요 창출 방안을 모색한다.

그 과정에서 한강·서부이촌동·용산전자상가 등 주변 지역과 어떻게 효과적으로 연계할지 검토하고, 서울역과 용산역의 철도 교통 기능을 적절히 분담하는 방안을 들여다볼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진행 중인 용산구의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와 코레일의 국제업무지구 개발 기본구상에 대한 큰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며 "용산 지역이 지닌 미래 비전을 고려해 공공적인 측면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