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영 기자]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금리를 3개월만에 0.25% 상향 조정하면서 국내 금융 시장의 불안감도 커지게 됐다.

특히 미국이 지난해 12월 이후 3개월만에 금리를 추가 인상함에 따라 부동산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미 시중 은행이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을 반영해 단기적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과 대선으로 인한 정부의 규제 강화, 입주 물량 증가 등으로 인해 하반기부턴 본격적으로 시장이 둔화되거나 위축될 전망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Fed)는 16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0.50~0.75%에서 0.75~1.00%로 0.25%포인트 올리기로 결정했다.

이미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최고금리의 경우 5%에 달할 정도로 치솟고 있다. 실제 KEB하나은행의 주담대 고정금리(5년 금융채)는 지난달말 연 3.36~4.68%에서 지난 15일 3.49~4.81%로 보름새 0.13%포인트가 올랐다.

전문가들은 실질적인 금융 거래 등에는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결정과 상관없이 가계부채 등으로 인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이 예상되지만 올해 한국의 금리인상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단순히 미 금리인상 만으로 시장에 지나치게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수익형 부동산 시장의 경우 심리적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번 미국 금리 인상으로 타격이 클 전망이다. 최근 사업 속도가 빨라지면서 단기 급등한 강남권 재건축과 외곽 지역부동산 일부수익형 부동산이 대상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전문위원은 "금리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 재건축, 재개발 시장이나 레버리지를 많이 이용하는 투자용 부동산이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라면서 "금리 상승은 금융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투자수익률 하락으로 거래가 둔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도 "대출 금리 인상으로 상가 등 수익형부동산이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레며 "결국 한국도 미국이 추가로 금리를 인상하면 따라 올릴 수밖에 없어 중장기적으로 부동산시장은 더 위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상가 시장의 경우 금리인상으로 투자수익이 크게 줄 것으로 보인다. 경기가 좋으면 대출 금리 인상분을 임차인에게 전가 할 수 있지만 정국불안과 금리인상, 경기불안까지 겹치면서 세입자에 금리 인상분을 임차인에게 전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아파트 매매 시장도 수요 둔화 가능성이 높다. 중소형아파트의 경우는 실수요자가 많지만 대출 의존도가 높은 신혼부부가 많은 만큼 수요가 위축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레버리지를 많이 쓰지 않는 토지 시장의 영향은 미미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미국의 금리 인상보다는 조기 대선으로 인한 정부의 추가 규제가 부동산 시장 위축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집권 가능성이 높은 야당이 그동안 전월세상한제나 부동산 보유세 강화 등 시장 규제 정책 강화를 주장해왔기 때문이다.

이미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부동산 보유세가 국제 기준보다 낮다"며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다. 또 비소구 주택담보대출 확대, 주택담보대출 상환능력 반영을 위해 기존 DTI(총부채상환비율)에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여신관리 지표로 활용하기로 했다.

이재명 성남시장도 국토보유세(연간 15조원)를 신설해 전 국민에게 매년 30만원씩 기본소득을 제공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 외에도 전월세 상한제와 후분양제 등 주거안정책 등이 거론되고 있는 중이다.

박상언 유앤알컨설팅 대표는 "더불어민주당이 정권을 잡게 된다면 부동산 완화 정책을 써왔던 기존 정부와 달리 추가적인 부동산 규제를 내놓을 것"이라면서 "이로 인해 부동산 투자 심리도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금리인상이 부동산의 급격한 침체와 가격 하락까지 동반할지는 좀 더 시장 상황을 지켜봐야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박원갑 위원은 "미국이 금리를 올렸더라도 한국의 금리 인상은 어려워 침체보다는 부동산 시장의 둔화 요인이 될 것"이라며 "부동산 시장의 거래량 둔화가 예상되나 임계점을 지나지 않는 한 가격 급락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당선됐다. 현재는 자유한국당 소속이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