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곤장체험행사장의 사또역을 맡은 강태준(퍼포먼스 더문 뮤지컬배우)씨
[심일보 대기자]검찰 특별수사본부가 박영수 특별검사팀 수사를 이어받아 재청구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구속영장이 12일 새벽 다시 기각되자, 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검찰을 개혁해야 한다”는 목소리로 밤새 들끓었다.

김경진 국민의당 의원은 이날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구속영장 기각과 관련 "우병우 수석과 관련된 수사는 실은 검찰 내부자 전 현직 검찰 내부자들과 다 연결된 수사"라며 검찰 수사를 비판했다.

한마디로 "아직 멀었다"는 것이 시민들의 한 목소리다. 시사플러스에서 지금의 검찰이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 연산군 때 나주 사또 박눌의 일화를 소개한다.

사또 박눌

전라도(全羅道) 나주(羅州) 땅에 김한이라는 자가 있었는데 처녀(處女)고 유부녀(有夫女)고 가리지 않고, 얼굴만 반반하면 수하(手下)의 잡놈들을 시켜,끌고 와 겁탈(劫奪)을 했다.

겁탈(劫奪)당한 여자(女子)들의 자살(自殺)이 이어졌다.

이 고을 사또(使道)라는 위인(爲人)은 빗발치는 민원(民願)에 ··김한을 찾아와 그 앞에 꿇어앉아 한다는 말이 “어르신, 제발 유부녀(有夫女)만은…”

보료에 삐딱하니 앉아 장죽(長竹)을 문 김한이 눈살을 찌푸리며,“건방진 놈, 네놈 할 일이나 하지,쓸데없이 참견(參見)이야. 썩 꺼지지 못할까.”
나주(羅州) 사또(使道)는 김한의 눈 밖에 나 옷을 벗고 물러났다.

도대체 김한은 누구인가?

연산군(燕山君) 애첩(愛妾)의 큰오빠였던 것이다.

박눌이라는 신관(新官) 사또(使道)가 부임(赴任)하러 나주(羅州) 땅에 들어섰건만, 누구 하나 마중 나오는 사람이 없다.

신관(新官) 사또(使道)의 기(氣)를 꺾으려는 김한의 농간(弄奸)이다. 동헌(東軒)에 들어오자 이방(吏房)이 보따리 하나를 들고 찾아왔다.

“나으리, 아무것도 준비(準備)하지 않으신 것 같은데, 이거라도 들고 먼저 인사(人事)를 가시지요."

박눌은 보따리를 걷어차며 고래고함을 질렀다.

“여봐라, 당장 김한이란 작자(作者)를 잡아 오렸다.”

천하(天下)의 김한에게 인사(人事)를 가기는커녕 잡아 오라 대갈일성(大喝一聲) 하니,앞으로 닥칠 일이 눈앞에 선해 ~

육방관속(六房官屬)이 모두 벌벌 떨고 있었다.

“내 말이 들리지 않느냐!”

다시 호통을 쳐도 고개만 숙일 뿐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

“그놈 집 마당에 형틀이 있다지.”

사또 박눌이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이방(吏房)을 앞세워 김한의 집으로 가자 관속(官屬)과 포졸(捕卒)들이 뒤따랐다. 박눌이 김한의 안마당에 들어서자 마루에선 김한이 두눈을 부릅뜨고 “네 이놈, 내가 누군지 알고 있느냐”며 사또에게 고함을 쳤다.

사또가 단숨에 뛰어올라가 김한의 멱살을 잡고 끌어내려, 형틀에 묶고 형방(刑房)에게 곤장(棍杖)을 치라 명(命)했다.

얼떨결에 형틀에 묶인 김한이 “네놈 사또 옷을 당장 벗기리라” 악(惡)을 썼다.

형방(刑房)이 곤장(棍杖)을 들고 벌벌 떨자 ~사또(使道)가 빼앗아 떡메 치듯이 내리치니 ··곤장(棍杖) 스무대에 김한은 똥을 싸며 뻗어 찬물을 퍼부었지만 일어나지 못하고 그대로 황천(黃泉)길로 가버렸다.

김한이 신관(新官) 사또(使道)에게 맞아 죽었다는 소문(所聞)이 퍼지자 나주(羅州) 백성들은 밤새도록 꽹과리를 울리며 춤을 추었다.

일은 크게 벌어졌다. 그날 밤 육방(六房)이 사또(使道) 앞에 엎드려 ~

“사또(使道) 나으리~!! 변복(變服)을 하고 멀리 행적(行跡)을 감추십시오. 여기 노잣돈을 마련했습니다.”

박눌의 대답(對答)은 단호(斷乎)했다.

“필요(必要) 없다.”

이튿날 아침, 나주(羅州) 사또(使道) 박눌은 당당(堂堂)하게 연산군(燕山君)에게 고(告)하고,사약(死藥)을 받을 참으로 집사(執事)만 데리고 말을 타고 상경(上京)길에 올랐다.

애첩(愛妾)의 큰 처남(妻男)이 사또(使道)의 태장(笞杖)에 절명(絶命)했다는 소식(消息)을 들은 연산군(燕山君)은 펄펄 뛰며 사헌부(司憲府) 관리(官吏)를 나주(羅州)로 보냈다.

그들은 엿새 만에 나주(羅州)에 도착(到着)해 “박눌은 빨리 나와 사약(死藥)을 받으라”고 고함쳤지만 박눌은 없었다.

한편 한양에 도착(到着)한 박눌은 간발(間髮)의 차이(差異)로 남대문(南大門)이 닫힌지라, 그날 밤은 성(城) 밖 주막(酒幕)집에서 마지막 술잔을 기울이며 평생(平生) 데리고 다닌 집사(執事)에게 “함께 화를 당할지 모르니 너는 이 돈을 가지고 네 고향(故鄕)으로 내려가거라. 날이 밝으면,나 혼자 조정(朝廷)으로 들어가 사약(死藥)을 받으리라.”

집사(執事)는 박눌에게 술 한잔을 올린 후 큰절을 하고, 말없이 닭똥 같은 눈물만 떨구었다.

이튿날 아침, 간밤에 마신 술로 주막(酒幕)에서 아직 자고 있는데, 집사(執事)가 뛰어들었다.

“나으리, 세상(世上)이 바뀌어졌습니다.”

간밤에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연산군(燕山君)은 폐위(廢位)되어 강화도(江華島)로 쫓겨나고 중종(中宗)이 등극(登極)했다.

훗날, 박눌은 부제학(副提學)까지 벼슬이 올라갔다.

정말 신기한 일을 여기서 부터이다.

천우신조인지, 박눌이 말술을 마시고 쓰러져버린 그날 밤,죽음의 그림자는 슬며시 그를 피해갔다. 바로 그날 밤, 반정으로
연산군이 물러나고 중종이 등극했던 것이다!

박눌이 서둘러 한성으로 돌아오니 새 임금 중종은 부제학(정3품)을 그에게 제수했다.

말 그대로 하룻밤 사이에 죽음은 그를 비켜가버린 기적이 일어난 것이었다.

일설에는 박눌은 그날 밤 술을 너무 마셔 중종을 알현했을 때 아직도 취중이였던지라,
"소신이 나주로 떠날 째 뵈온 용안과 지금의 용안이 다르니 이 어쩐 일이옵니까?" 라고 실언하여,그 바람에 새 임금 중종과
 주변 신하들이 모두 폭소를 터뜨렸었다 한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