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배 기자]북한이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 칼빈슨(CVN-70) 항모전단의 동해 진입에 맞춰 29일 발사한 탄도미사일과 관련해  진의가 무엇인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일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이 지난 4월 5일과 16일에 이어서 29일 오전 5시 30분쯤 평남 북창 일대에서 발사한 미사일은 신형 ASBM 시험이거나 고체연료 엔진 실험 또는 스커드 계열 개량형 시험발사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특히 북창에서 발사한 미사일은 발사장소와 방향, 각도를 제한해 내륙으로 발사한 점 등에 비춰 단순한 발사 실패보다는 제한된 테스트를 위한 의도적인 공중폭발 또는 핵전자기펄스(NEMP)탄 개발을 위한 탄두 공중폭발 실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새로운 무기를 개발했을 가능성까지 점쳐진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 29일 오전 5시30분께 평안남도 북창 일대에서 발사한 탄도미사일은 분명한 실패다. 발사 후 수분 동안 비행해 최대고도 71㎞ 지점에서 폭발해 실패로 보인다. 파편도 북한 내륙에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북한 관영매체들도 침묵하고 있다.

다만 발사 방위각, 즉 목표로 잡았던 방향이 이전과는 달랐는 것이다. 이와 관련 서울경제 권홍우 논설위원은 "예전에는 동쪽을 향해 방위각 89~90도 발사해 동해에 발사체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번 발사의 방위각은 49도. 동북부 쪽으로 비행한 탄도미사일이 실패하지 않았다면 탄착지점이 나진 항구 일대나 러시아 영토였다"는 얘기다.

 
북한이 고의로 미사일을 파괴했을 것이라는 추정도 이런 이유에서 나온다는 것이다. 미국에 굴복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과시하면서도 직접 충돌만큼은 원치 않는다는 무언의 메시지를 전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하나 주목할 대목은 발사한 탄도미사일의 종류. 한미 양국의 정보기관은 KN-17로 보고 있다. 스커드 미사일의 탄두부 바로 아래에 작은 보조날개(카나드) 4개를 장착한 이 미사일은 지난달 15일 북한인민군 창건기념일 열병식에 궤도형 발사차량에 탑재돼 선보인 무기체제다. 스커드 개량형의 사거리가 1,000㎞ 정도라는 점에서 KN-17의 사거리도 비슷해 보인다.

핵심관심사는 이 미사일의 대함탄도미사일(ASBM: Anti-Ship Ballistic Missile) 여부다. 움직이는 함정을 목표로 삼는 ASBM이라면 정밀도가 상당한 수준이어야 하는데 북한이 과연 이 조건을 충족시켰는가를 놓고 관측이 엇갈린다. 정밀도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라면 소형화한 핵탄두를 탑재하는 선택도 가능하다. 중국이 유사시 미 해군 항모전단 격파용으로 개발한 세계 유일의 대함탄도미사일 DF-21D과 같은 운용개념이다. DF-21D는 재래식과 핵탄두를 둘 다 탑재할 수 있다. 

더욱이 이동형 발사차량을 갖춘 북한 KN-17이 고체 연료를 사용할 경우 유사시 미 해군 항모전단에는 상당한 위협이 될 전망이다. 핵탄두까지 탑재하는 경우는 더욱 그렇다. 정확도가 떨어져 지근탄만으로도 함대 전체가 타격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군 당국이 발사된 미사일의 유형을 정밀 분석 중인 가운데 외신들은 미국 정부 관리들을 인용해 KN-17 ASBM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이 아직 개발하지 못했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이상민 국방연구원(KIDA) 연구원은 최근 “북한은 스커드-ER, 노동, 북극성 1∼2형을 ASBM으로 개량하거나 새롭게 개발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망했다. 그동안 북한이 ‘항공모함 킬러’로 불리는 중국의 ‘둥펑’(東風·DF-21D) 대함 탄도미사일과 유사한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는 주장은 꾸준히 제기됐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