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호 기자]2011년 4월12일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이 긴박하게 움직였다. ‘신라호텔 한복사건’이 터진 직후였다. 호텔 뷔페에 입장하던 한복 전문가를 직원이 제지한 게 발단이었다. 분노한 한복 전문가는 트위터에 사건을 공개했다. 여론이 들끓었다. 호텔 측이 사과했지만 진정되지 않았다. 이튿날 미래전략실로 전화 한 통이 걸려 왔다. “제가 직접 해결하겠습니다.” 이부진 신라호텔 사장이었다. 그는 곧장 피해자를 찾아가 사과했다. 한복 전문가는 만남 직후 트위터에 글을 올렸다. “개인적으로 신라호텔을 용서했다.” 여론은 잠잠해졌다.

어쩌면 지난해 4·13 총선에서의 새누리당 참패는 이러한 위기관리 부재에서 시작됐고 지금의 문재인 정부가 탄생에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고 봐도 무난하다.  당시 새누리당은 앞서의 예처럼 위기관리의 모든 기본 원칙을 저버렸다. 우선 “피해자를 관리하라”는 첫 번째 명제를 거부했다. 공천 파동의 첫 번째 피해자는 두말할 것 없이 국민, 특히 여당 지지자들이었다. 말로는 경제 회복을 외치며, 추악한 정파 싸움을 벌이는 여당을 보며 그들은 분노했다. 지지자들의 마음은 멀어져 갔고, 피해자들은 표로 심판했다.

기업이든 정치든 집단사고에 빠지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 경향이 있다. 제왕적 권력을 가진 리더의 위험성도 여기에서 시작된다. 합리성과 관계없이 무조건 지지하고, 리더는 자신의 생각과 판단을 절대선이라고 믿는다. 잘 나갈 때 조심하라는 말이 유의미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조직은 성공할 확률만큼 실패의 확률도 높다. 박근혜 전 대통령과 그를 둘러싼 친박 세력에서 이를 봤다.

일반적으로 일사불란한 조직이 그렇지 못한 조직에 비해 효율적 결과를 만들어 낸다. 그러나 함정이 있다. 획일성은 조직을 자칫 집단사고의 위험성에 빠트린다. 확증편향의 덫이다. 대응책으로 ‘레드 팀(Red Team)’을 구성하는 예가 많다. 미군이 가상의 적(敵)을 레드 팀으로 부른 것에서 유래됐다. 우군은 블루 팀이다.

기업에선 집단사고의 위험성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레드 팀이 활용된다. 경쟁자 또는 적의 입장에서 무조건 반대하도록 하고, 회사는 이 과정을 통해 취약점을 보완하고 리스크를 최소화한다. 듀퐁의 성공배경엔 레드 팀의 존재가 있었다는 건 잘 알려진 이야기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등도 레드 팀이 있으며 우리나라 일부 기업도 유사한 조직을 운용한다. 실패의 확률을 줄이는 것이 결과적으로 성공의 확률을 높이는 방법이다. 경영전략의 하나다.

집권 초기 빚어진 ‘인사 난항’ 논란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청와대가 ‘레드팀’의 조기 구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지난29일 밝혔다.

청와대의 조직 특성상 집단사고의 위험성에 빠질 우려가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스스로를 도덕적 우위에 있다고 생각하는 집단의 경우 집단사고의 경향이 크다. 도덕적 또는 사회적 이슈에선 더 그렇다.

이는 독일의 정치커뮤니케이션학자 노엘레 노이만이 간파한 ‘침묵의 나선이론’(the spiral of silence theory)과 맞닿아 있다. 자신의 생각이 다수의 견해와 다를 때 고립을 피하기 위해 또는 주류에 속하기 위해 입을 다물게 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노이만은 침묵의 나선이론을 통해 집단사고가 가지는 여론왜곡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청와대에 침묵의 나선이론이 나타나면 독선에 빠지기 쉽다. 문재인 대통령도 첫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이견을 말하는 것은 의무라고 했다. 청와대의 실패는 대통령의 실패고, 이는 국민의 실패다. 레드 팀이 기대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