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배 기자]2014년 4월 16일 박근혜 당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를 처음 보고받은 시각이 오전 10시가 아니라 9시30분인 것으로 드러났다.

박 전 대통령의 뒤늦은 대응으로 ‘마지막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비난을 모면하기 위해 문서에 손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박 전 대통령이 사고를 보고받은 직후 적극 구조 지시를 했다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안타까운 부분이다.

'보고 뒤 15분만에 구조지시'를 내린 게 아니라, 보고 받고도 40여 분간 직무불능 혹은 무능력 상태에 있었던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12일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의 발표에 따르면,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가 세월호 사고 내용을 박 전 대통령에게 보고한 시각은 오전에만 9시30분 - 10시40분 - 11시10분이었다. 그간 박근혜 정부가 오전 10시 - 10시40분 - 11시20분에 보고됐다고 밝혀온 게 조작됐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12일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 브리핑을 통해 이같은 정황이 담긴 박근혜 정부 청와대 문건을 공개하고 관련자들에 대해 검찰 수사를 의뢰했다.

세월호 사고 관련해, 박 전 대통령이 관저에 머물며 처음 내린 지시는 "단 한명의 인명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라, 여객선 내 객실 등을 철저히 확인하여 누락 인원이 없도록 할 것"이란 내용이었다. 이같이 단순한 구조지시가 나오는 데에 45분의 시간이 걸린 것이다.

대통령이 침묵했던 그 45분 동안 세월호는 바다 쪽으로 기울고 있었다. 해경 헬리콥터가 구조작업을 시작했고(9시30분) 해경123정이 세월호 좌현 쪽으로 다가가고 있었다(9시38분). 이준석 선장 등 선원들은 해경 구조단정에 올라탔다.(9시46분). 9시34분 좌현으로 52.2도 기울어 있던 선체는 9시50분 경 급격히 기울기 시작했고, 해경 123정은 "배가 잠시 후 곧 침몰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상황실에 보고했다. 9시 54분 세월호는 64.4도로 기울어 좌현이 완전 침수됐다. 이후 세월호는 빠른 속도로 침몰했다. 승객을 태운 채로.

윤전추 "안보실 최초보고 전달 뒤 안봉근이 올라왔다"

'침묵의 45분' 동안 박 전 대통령은 뭘 한 걸까. 여러 가능성이 있다. 이날 오마이뉴스는 우선, 대형 여객선 침몰 사고를 보고받고도 그리 중요한 사건이라 생각하지 않았거나, 즉각적으로 판단을 내릴 수 없는 상태였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박 전 대통령에게 9시30분에 전달됐다는 국가안보실의 보고는 9시 24분 청와대 참모들에게 문자메시지로 전파한 사고발생 내용을 문서로 출력한 것이다. 탄핵심판 당시 증인으로 나왔던 윤전추 전 청와대 행정관은 이 보고에 대해 "(문자메시지를 출력하여) 문서 서류화 된 것을 제가 전달했다"고 증언했다.

윤 전 행정관의 증언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이 관저에 있을 때 이 같은 보고서가 오면 '집무실'이라고 부르는 방에 넣어두고 인터폰을 통해 박 전 대통령에게 알리는 식으로 전달했다고 한다. 당시 세월호 사고보고 전달과정에 대해 윤 전 행정관은 "(대통령이) 집무실 안에 있어서 인터폰으로 급한 서류라고 말씀드렸다"고 밝혔다.

윤 전 행정관이 대면해 건네지 않았다는 점에서, 박 전 대통령이 최초보고를 즉각 읽어보지 않고 뒤늦게 알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하지만 안보실의 최초보고 전달 뒤 얼마 안 돼 박 전 대통령이 최측근 비서관을 찾았다는 점에서 이럴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국가안보실의 최초 사고보고 뒤 안봉근 당시 국정홍보비서관은 관저로 가서 박 전 대통령을 대면했다. 이에 대해 윤 전 행정관은 "(보고서를) 전달하고 조금 있다가 안봉근 비서관이 급한 전화 업무 때문에 올라 온 것으로 기억한다"고 증언했다. '전화 업무'란 박 전 대통령이 전화로 호출했다는 뜻이다.

청와대가 최초보고 시각을 10시라 밝힌 당시엔 박 전 대통령의 구조지시 뒤 안 전 비서관의 대면보고가 있었던 걸로 간주됐다. 하지만 최초보고 시각이 9시 30분으로 당겨졌다. 최초보고를 접한 박 전 대통령이 안 전 비서관을 호출했고, 안 전 비서관이 관저로 간 뒤에 구조지시가 나왔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렇게 가정하면, 박 전 대통령이 안 전 비서관을 급히 찾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주목된다. 분명한 것은 대규모 해상 사고가 터진 상황에서 국가안보실의 보고가 올라갔지만 대통령에게는 즉각 대처할 능력이 없었다는 점이다.

윤 행정관은 지난 1월 자신이 그날 오전 8시 30분께 박 대통령을 대면했을 때 "정상 업무복 차림에, 머리 손질·메이크업도 어느 정도 돼 있었다"며 관저 밖으로 나갈 수 있었던 상태였다고 밝혔다. 또 오후 들어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다급히 전속 미용사가 호출됐다고 진술했다.

오전 중 외출이 가능한 상태로 몸단장했던 박 대통령이 어째서 세월호 구조 지휘가 다급했던 그 시점 머리 손질을 다시 해야 했는지 의구심이 들 수 밖에 없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국민적 의혹을 해소하도록 알리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고 임 실장은 전했다. 임 실장은 “가장 참담한 국정농단의 표본”이라고 말했다. 두 건 모두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시절 일이기 때문에 김 전 실장에 대한 검찰 수사가 불가피해 보인다. 세월호 사고 당시 국가안보실장은 김장수 전 실장이었지만, 2014년 6월 김관진 전 실장으로 교체됐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