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일보 대기자]이명박 전 대통령 정권 창출의 일등공신 중의 한 명으로 한 때 이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정두언 전 의원이 최근 자신이 말했던 '경천동지(驚天動地)'할 일이 대선과 연관돼 있음을 암시하는 발언을 했다.

앞서 정두언 전 의원은 지난달 19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명박 정부의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 의혹에 대해 "대선 과정에서 경천동지 할 일들이 세 번 벌어졌는데 후유증이 대통령 (당선) 후까지 갔고 그걸 처리하는 과정에서 돈이 필요했다"고 밝혔다.

또 지난 23일 JTBC '뉴스룸'에서는 '경천동지할 일이 무엇이냐'는 손석희 앵커의 물음에 정 전 의원은"죽기 전에나 이야기할 수 있다"면서도 "이 전 대통령은 무슨 이야기인지 알 것"이라고 의미심장한 멘트를 던졌다.

정 전 의원은 2일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경천동지할 일이라는 것은 부정선거일 수도 있고 가족이 포함됐을 수도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정 전 의원의 얘기를 요약하면 지난 2007년 대선 때 MB가 가족을 동원해 부정선거를 저질렀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명박과 박근혜의 '총알전쟁'은 어땠을까

당시 이명박, 박근혜 양 진영의 대결은 외견상 정책 대결 양상을 띠었다. 여기에 당시 불거졌다가 잠복한 ‘후보 검증론’도 있었다. 하지만 물밑에선 ‘총알 확보’를 위해 피말리는 전쟁이 전개되고 있었다. 경선이 다가올수록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 조직 관리나 각종 행사에 소요되는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서는 자금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총알 대결에서 유리한 쪽은 이명박측 진영이다. 이 전 시장 캠프의 자금 사정은 상당히 여유로왔다는 것이 당시 다수의 기억이다. 이와 달리 박근혜 전 대표측은 이 전 시장측에 일방적으로 밀리는 형세였다.

그렇다면 ‘총알’의 많고 적음이 당내 경선에  어떤 상관관계로 작용하고 있을까.

경선이 세 확보의 유불리에 달려 있다고 볼 때, 이명박 측이 매우 유리한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당시 한나라당 관계자들은 전했다.

한나라당의 한 중진은 상황에 대해 “한마디로 괄목할 만한 진전이 있었다. 지난해 대표 경선 때만 해도 당내 세력 분포도에 있어 박근혜 전 대표가 월등히 우위에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아니다. 이명박에 대한 높은 여론 탓도 있겠지만 풍부한 자금을 바탕으로 한 ‘이명박 우군 만들기’가 먹혀 들어가고 있다.”고 했다.

사정이 이렇게 되자 다급해진 쪽은 박근혜 캠프. 박 전 대표측은 겉으로 내색은 않고 있지만 자금 확보를 위해 비상이 걸렸다. 하지만 과거와 달리 엄격해진 정치자금법 탓에 실탄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았다.

실제로 국회의원이 아닌 대선주자들의 경우, 대선 예비 후보로 등록하기 전에 후원금을 걷게 되면 곧바로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처벌받게 된다. 당시 대선의 법정 선거비용은 4백 60여억 원. 개인 재산이 많을 경우, 재산을 처분해 충당하면 되겠지만, 그렇지 못한 후보는 과거처럼 기업으로부터 불법정치자금을 받고픈 유혹을 느낄 수밖에 없는 구조다.

그렇다면 한나라당 대선주자들은 어떤 방식으로 그 많은 캠프 운영비를 감당하고 있을까.

당시 사무실 운영비와 지방 강연 및 해외 출장 등의 비용으로 적게는 월 1천만 원에서 많게는 3천만 원 정도의 돈을 사용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명박측은 캠프 사무실인 ‘안국포럼’(65평) 임대료 7백 만 원, 유급 직원 6명의 월급 9백 만 원 기타 행사비용을 합해 월 2천 5백 만 원 안팎이 들었다.

박근혜 측에선 여의도 엔빅스 빌딩의 사무실(95평) 임대료 및 관리비 포함 7백5십만 원, 여기에 상근직원 월급 등 1천5백만 원 가량이라고 밝혔고, 손학규 측도 이와 비슷한 규모인 1천만 원에서 1천5백만 원 사이의 운영비가 든다고 했다.

하지만 각 캠프의 이같은 주장을 그대로 믿는 이는 없다. 대선주자들의 활발한 행사비 지출에다 수십명에 이르는 캠프 조직원들의 활동비 및 경조사비, 특보단과 자문교수단 운영비 등 각종 비용을 감안하면, 최소 수천만 원에서 억대를 넘나들거라는게 중론이다.

그렇다면 이 많은 실탄들을 대선주자들은 어떻게 확보하는지도 궁금한 대목이다.

이와 관련 당시 이모 씨는 한 언론의 기고를 통해 이명박 측 관계자는 ‘이명박 소유의 건물에서 나오는 임대 수입과 강연료로 운영비를 대부분 충당한다’고 설명했다. 조직원들의 활동비에 대해서도 ‘상근 직원을 빼놓고는 캠프 직원들에게 따로 활동비를 지급하지 않고 있다’라고 했다.

이명박을 지지하는 자원봉사자들이 날로 늘고 있어 바깥에서 생각하는 만큼 많은 돈이 들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설명은 박근혜 전 대표측도 비슷하다. 박 전 대표측 관계자는 ‘박 전 대표가 의원 신분이어서 합법적인 후원금이 들어온다. 어떤 돈도 후원금 용도에 맞게 깨끗하게 쓰고 있으며 캠프 직원들도 대부분 자비를 쓴다’고 밝혔다.

하지만 언론에 보이기 위한 '멘트'일 뿐 기하급수적인 돈이 들어갔다는 것이 다수의 시각이었다. 이런 상황을 의식한 선관위와 검찰 등에서 각 캠프 사무실을 예의 관찰하고 있다는 소문도 돌았다.

어쨌건 당시 한나라당 내 여러 관계자들의 전언을 종합해보면, 이명박 측의 화력이 가장 막강하며 박 전 대표측은 상대적으로 수세에 몰리고 있는 형국으로 전개됐다, 결국 여론조사에 이어 ‘총알 전쟁’에서도 밀린 박근혜는 최후의 승자 자리를 MB에게 내주고 말았다.

정두언 전 의원이 말한 '경천동지' 할 일은 아마도 이 과정에서의 부정선거를 지적한 듯 싶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