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영 기자] 과연 이명박 전 대통령의 실제 재산은 얼마나 될까

검찰은 이번 수사에서 이 전 대통령이 다른 사람 이름으로 돌려놨던 재산들이 천억 원대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을 재판에 넘기면서 이런 재산을 처분하지 못하게 해달라고 법원에 요청할 예정이다. 향후 재판에서 110억 대의 뇌물이 모두 유죄로 인정되면 전액 추징하기 위해서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퇴임 직후인 2013년에 공개한 재산 내역에 따르면 청계 재단 등에 330억여 원을 출연하고, 남은 재산은 46억 3000만 원뿐이라고 신고했다. 하지만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이 천억 원대에 가까운 재산을 다른 사람 이름으로 보유해왔다고 보고 있다.

자동차 부품업체 다스와 자회사 홍은프레닝을 포함해 조카 등의 명의로 돼 있는 전국의 부동산과 여기에서 나오는 임대 수입 등이다.

한마디로 최근 백승우 MBC기자가 최근 출간한 책 제목처럼 MB는 '재산 은닉 기술의 대가'인 셈이다. 이 전 대통령의 은익재산의 실체를 들여다보기 위해서는 MB 처남 고 김재정씨의 재산 흐름에 답이 있다.

이 대통령의 부인 김윤옥 여사의 남동생이자 고인이 된 김재정 씨는 1982년 충북 옥천군 이원면 강청리 임야를 시작으로 충남 당진군 송산면 유곡리(87년), 경기 화성시 우정면 주곡리(87년), 경기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와 경북 군위군 산성면 화전리, 대전 유성구 용계동(88년), 강원 고성군 토성면 용촌리(90년)의 임야와 잡종지를 사들였다. 김 씨가 10년 동안 사들인 부동산은 모두 224만㎡(약 67만여 평)이었다. 이 중 권 씨가 김 씨 사망 후 국세청에 물납하려 했던 국세청 땅이 바로 1982년 매입한 충북 옥천군 땅이다.

김 씨가 전국에 부동산을 집중 매입한 시기는 현대건설 하도급 업체인 세진개발을 운영하던 때와 일치한다. 이 전 대통령은 지난 1977년~1988년까지 11년간 현대건설 사장, 1992년까지 현대건설 회장을 지냈다.
김 씨가 사들인 부동산은 매입 전후 정부 당국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가 급등지역’으로 지정돼 관리에 들어갈 만큼 개발이 활발했던 지역에 몰려 있다. 87년 충남 당진군 임야 매입 전후에는 서해안 매립작업이 진행되고 한보철강이 들어서면서 매입 당시 평당 7000원대였던 땅값이 4만~5만원으로 급격히 뛰어올랐다. 김씨는 당진 땅을 2005년 기획부동산 업체에 팔았다.

또 강원 고성군 임야는 매입 다음해인 세계잼버리 대회 유치로 지가가 급등, 국세청이 관리에 들어갔던 지역이다. 경기 화성시 잡종지 3306㎡는 현대건설이 단독으로 방조제 공사를 맡았던 시화지구 개발 지역에 인접해 있다.

김씨 소유의 부동산이 실제로는 이 전 대통령 소유라는 의혹이 제기됐던 것은 이처럼 현대건설 개발 호재와 맞물린 지역에 김 씨 소유의 땅이 몰려 있다는 점과 김 씨가 다수의 부동산을 자신의 명의로 소유하고 있음에도 회사 운영 중 수억 원 대의 빚을 지고 세금을 제대로 내지 못해 가압류를 당한 사실 때문이다.

우연의 일치라고 하기에는 그 시기와 장소가 현대건설 등과 너무나 밀접했던 것이다. 또한 김씨는 80년대 중후반을 전후해 이 대통령의 큰 형 이상은씨와 동업을 시작했다. 85년에는 당시 현대건설 소유였던 서울 도곡동 땅 6553㎡(1986평)을 이씨와 공동명의로 사들였고, 87년에는 ‘다스’라는 자동차 부품 제조 회사를 만들었다. 모두 ‘이명박’이라는 접점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결국 모든 의혹의 출발점은 다스가 누구 것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공교롭개 김 씨의 처 권영미 씨는 다스 지분을 5% 가량 보유하고 있다. 여전히 그가 지분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실소유주 논란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그의 입을 막기 위한 것으로 추측된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