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일보 대기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 가능성이 흘러나오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 ‘변수도 적지 않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23일 베이징의 외교가에선 우선 중국이 사전공개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만약 시 주석이 방북한다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 등을 통해 사전에 공개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장쩌민·후진타오 시대를 거치며 중국 최고지도자의 방북은 사전 공개가 관행이 됐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유다.

또한 9·9절 방북은 중국으로선 부담이 적잖은 선택이란 지적이다. 김정은의 3차례 방중에 대한 단순한 답방이랄 수도 있지만, 현 시점에서 시진핑의 방북은 향후 미·중, 비핵화 협상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중화권 매체는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이 임박하면서 시 주석의 방북 시점을 전망하는 기사를 내놓기 시작했다.

홍콩 명보는 "9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동방포럼에서 푸틴과 만난다. 이후 같은 방향인 평양을 방문할 지는 여전히 변수가 있지만 연내 방북 가능성은 높다"고 보도했다. 동방경제회의 폐막일인 9월 13일 이후로 방북시점을 전망했다.

특히 시진핑의 북한방문에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 성과를 변수로 지적하면서 북한 정권수립 기념일인 9월 9일 방북 가능성이 낮다고 전망했다.

현재 미·중 관계는 무역전쟁으로 인해 최악이고, 미·북 간 비핵화 논의도 평행선을 달리며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미국은 비핵화 논의 과정에서 중국의 배후 역할을 끊임없이 의심해왔고, 그런 미국이 보는 가운데 시 주석이 평양에서 북·중 우호를 대대적으로 과시했다가, 이후 비핵화 협상 교착 상태가 더 악화되기라도 한다면 거센 '중국 책임론'에 휘말릴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시주석 동정에 부정도 긍정도 않고 말을 아끼는 것이 이 같은 이유 때문이란 것이다. 일각에서는 "시 주석이 아닌 상무위원급이 갈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시 주석의 방북 목적이 '북한의 개혁개방 선언'에 있다는 예측도 나왔다.

둬웨이는 "시 주석이 직접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이 세계를 향해 개혁개방 결심을 표명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보도했다.

올 12월 개혁개방 40주년을 맞는 중국이 북한을 같은 개혁개방의 길을 가는 동반자로 삼으려 한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