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호 기자]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지난 8월,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지지율 하락과 관련해 기자의 질문을 받고 ‘일희일비 않겠다’고 했다. 애써 지지율에 구애받지 않겠다는 말이었는데 그로부터 한 달도 안 돼 김 대변인은 전혀 다른 논평을 내놨다.

‘상황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더 기울이겠다’고...

임기 초 높은 비율을 기록하던 대통령 지지율이 시간이 지나면서 떨어지는 건 미국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학계에선 '필연적 하락의 법칙(the law of inevitable decline)'이라 부른다.

·아주대 문우진(정치학) 교수가 2012년 정치학회보에 게재한 '대통령 지지도 필연적 하락의 법칙-누가 왜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바꾸는가.' 논문에서 선거과정에서 후보자의 이념성은 숨긴 채 도덕성·능력을 최대치로 분출→유권자 기대감이 커지고 성향이 다른 지지자도 가세→취임 직후 ‘모두를 위한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에 지지율 최고조→시간이 지나면서 불만족스러운 정책 결과 노출→모두를 만족하게 하는 정책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대통령도 인지→실망감이 쌓이며 지지율 급락의 패턴을 반복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문 대통령의 경우 집권한 지 이제 15개월 지났는데, 집권 2년차는 정권에 대한 기대감이 아직 남아있는 시기로 조금 더 지켜보자는 심리가 강하다고 덧붙였다.

사실 문 대통령을 향한 50%대 지지율은 과거 정부와 비교해 결코 낮은 수치가 아니다. 다만 지지를 철회하는 속도가 예사롭지 않다는 게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전문가들의 분석에 의하면 노무현 정부 때 수도권의 지지율이 높지 않았는데, 이는 경기에 민감한 자영업자가 등을 돌렸기 때문으로·지금은 그때보다 자영업자가 더 늘어난 데다, 이들이 경기 불황에도 민감해 지지율 하락 속도가 더 빠를 수 있다고 진단한다.

전문가들은 정권이 지켜야 할 지지율 마지노선을 40%로 보는데, 지지율 40%는 부정적 평가가 더 많다는 의미로 이 선이 무너지면 당에서도 거리를 두기 시작 하며 ·25%가 되면 사실상 대통령의 리더십이 사라지는 수준이라고 제시한다.

·41%의 득표로 당선된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80%까지 갔던 건 그만큼 기대가 컸다는 의미로 득표율에 준하는 지지율을 지키는 것이 향후 국정동력을 이어가는 키가 될 것이란 지적이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