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호 기자]자유한국당 인적쇄신의 넘버 1,2인 전원책 변호사와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 간 갈등설이 흘러 나오고 있다. 두 사람은 보수통합론과 인적쇄신 범위 등을 놓고 미묘한 차이를 노출하는 등 권한과 역할이 분명치 않다는 수준을 넘어 보수개혁에 대한 견해차가 존재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30일 정치권에 따르면 전 위원이 253개 당협위원장 선임이라는 큰 권한을 쥐었지만 최근 발언은 당 비대위원장의 권한을 넘어선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자신을 영입한 김병준 비대위원장과 신경전을 하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전 위원의 논란성 발언은 '통합전당대회 실시, 소선거구제도, 단일지도체제 유지' 등에서 비롯됐다. 지도부인 비대위와 결이 다르거나 혹은 방향을 정반대로 하는 발언으로 인해 구설수에 올랐다.

전 위원은 '통합전당대회'실시를 조건으로 조강특위 위원 제안을 받아들였다.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가 비판하자, 지난 4일 첫 기자회견에서 "일개 조강특위 위원이 통합전당대회를 주장하겠느냐"며 "국민의 희망이 보수통합, 보수단일대오라는 점에서 말했다"고 살짝 방향을 수정했다.

아울러 "대통령제를 고수하는 한 적합한 선거제도는 바로 소선구제 제도"라고 말하기도 했다.

전 위원은 지난 15일 SBS주영진의 뉴스브리핑에서 출연해 "친박 단체는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가장 열렬한 지지자였다. 극우가 아니다"라며 "그럼 그들을 우리 보수세력에서 앞으로 제외할 거냐. 그건 아니다"라고 말하며 사실상 태극기 세력을 포함한 보수통합을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또 김무성 홍준표 전 대표의 전당대회 출마에 대해서도 지난 11일 한 언론에 "본인들이 큰 그릇이라면 빠지고, 끝까지 고집하면 본인들 스스로 무덤을 파는 일"이라고 말했다. 당 안팎에서는 조강특위 위원이 특정인의 전당대회 출마여부를 언급하는 게 맞는지에 대한 반론이 속출했다.

김병준 비대위는 현행 당대표가 전권을 갖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에서 당대표-최고위원이 합의하는 집단지도체제를 검토 중이다. 이와 상반된 의견을 전 위원이 드러낸 것이다.

김병중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23일 대구에서 뉴시스와 만나 전 위원장의 '지도체제'발언에 대해 "본인이 지도체제 문제에 대한 권한이나 결정권 갖고 있다면 그렇게 이야기 안하셨을 것"이라며 "그냥 정치에 관심 가진 논평가로서 자기견해를 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뭔가 못마땅하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김병준 비대위원장과의 관계에도 이상 조짐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25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비대위회의에서도 '전원책 조강특위 위원의 발언이 선을 넘는다'는 지적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이날 회의 직후 '전 위원의 발언이 당내 혼란을 부추긴다'는 기자들의 질문에 "(전 위원이) 개인적 학자 또는 변호사로서 피력하는 게 있고 조강특위 위원으로서 입장을 피력하는 부분이 있는데 구분이 잘 안돼 혼란이 많은 것 같다"며 "저 같은 사람은 평론가로서 발언하는 것과 조강특위 위원으로서 발언하는 게 (다르게) 느껴지는데 일반 국민은 그렇지 못하다"고 말해 전 위원의 발언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그러자 전 위원 역시 가만히 있지 않았다. 그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언짢은 심기를 드러냈다.

그는 27일 한 언론에 "한 비대위원이 조강위에 당부하는 내용을 회의 때 언급했는데, 사실 기분이 상했다"며 "전권을 부여했으면 간섭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그래서 김 위원장에게 전화를 걸어 다시는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달라고 말했다"고 김 위원장에게 항의전화를 한 사실을 밝혔다.

이와 관련 김 비대위원장은 29일 비대위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조강특위와 비대위간 갈등'여부를 묻는 질문에 "갈등이 없다"며 "비대위와 조강특위가 갈등할 관계가 아니다"라고 논란을 잠재우려 애썼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전 위원의 '전권'발언에 대해 "내가 정확하게 한 표현은 전례 없는 권한이었다"며 "조강특위에 관해선 여전히 같은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사실상 권한 전체가 아닌 조강특위 운영에 관한 '전례 없는 권한'으로 축소된 의미를 강조했다.

당 안팎에서는 전 위원의 발언은 그 책임과 무게가 있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차기 253개 당협위원장을 선임할 조강특위 위원의 발언이 기존 비대위의 방향과 결이 다르다면 당 안팎이 어떤 기준에 따라 움직여야할지 몰라 술렁일 수 밖에 없다.

한편 한국당 조강특위는 이르면 이번 주 현지실사 태스크포스(TF)인력 인사를 단행하고 교육 후 오후전국 253개 당협 중 사고당협을 제외한 236곳에 대한 실태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