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김병준 비대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김민호 기자] 자유당 김병준 비대위원장의 보수 대통합 작업 추진에 대해 일부 중진의원들이 당 지도부를 향해 정면 반발했다. 이들은 김병준·전원책 발 '보수통합'에 반대하며 '박근혜 끝장토론'을 촉구해 파장이 예상된다.

1일  뉴스 큐레이션은 "‘책임과 혁신’이라는 백보드나 치우고들 떠들든지... 남 보기 남사스럽다"고 전했다.

한국당은 31일 국회에서 비대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노컷뉴스에 따르면 당협위원장 교체를 위한 조강특위의 실사 작업이 시작된 가운데 오는 12월 원내대표 선거와 내년 2월경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는 등 굵직한 당내 현안 논의 차원에서 열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회의는 김 비대위원장과 김성태 원내대표의 모두 발언 직후 중진의원들이 발언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포문은 정우택 의원(4선)이 열었다. 정 의원은 "김 비대위원장이 보수대통합을 이야기하는데, 보수대통합은 다음 당 대표가 해야 할 숙제"라며 "아직 비대위가 보수대통합을 하기엔 과정과 여건이 마련되지 않았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러면서 "보수대통합이 뭔가 했는데, 집을 뛰쳐나간 사람을 데리고 오는 것을 보수대통합이라고 보지 않는다"며 "보수대통합은 차기 총선의 최대 숙제이기 때문에 이 과정은 차기 당대표가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비대위원장을 비롯한 유력 당권주자들이 바른미래당 등을 포함한 범(凡)보수 진영의 통합을 추진하는 데 대해 확고한 반대 입장을 보인 셈이다. 차기 당 대표 선거 출마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정 의원은 당 지도부를 장악한 비박계가 바른미래당 등에서 보수인사들을 영입해 세(勢) 불리기에 나선 것으로 판단해 이를 견제하겠다는 구상으로 보인다.

김병준 비대위 체제 발족 이후 공개 발언을 자제해왔던 친박계 홍문종 의원(4선)도 비판에 가세했다.

홍 의원은 이 자리에서 "제가 쓴 소리를 안 하려고 해도 안할 수가 없다"며 "의총에서도 공개 발언을 했었는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분명한 우리의 백서를 만들어라"고 요구했다. 이어 "지금 우리당 그 문제에 대해 어떻게 결론을 내리고 있는지 이것을 제대로 안 하면 미래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김 비대위원장과 전 조강특위 위원은 보수통합을 위해 '박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끝장토론의 필요성을 제안한 바 있다. 이에 홍 의원은 박 전 대통령의 고정 지지층인 태극기 세력이 외부에서 탄핵의 부당성을 주장하고 있는 점을 들어 당 지도부를 압박하겠다는 구상이다.

홍 의원은 탄핵 국면에서 탈당 후 복당해 당 지도부를 장악한 비박계와 전 위원을 싸잡아 비난하기도 했다. 

그는 "당을 나갔다 들어온 사람들이 아무 말도 안하고 앉아서, 탄핵에 가장 앞장섰던 사람들이 당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이냐"며 "당이
제대로 되기 위해서는 최소한 당을 저주하고, 당에 침 뱉고, 탄핵에 앞장섰던 사람들이 대오각성하고 반성해야 한다"고 탄핵에 동참했던 비박계를 정면 겨냥했다.

탄핵 끝장토론의 필요성에는 당내 모든 구성원이 공감하지만, 토론의 결과와 책임 여부에 대해선 간극이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비박계는 대다수 국민 여론을 고려해 박 전 대통령 탄핵이 불가피했다는 입장이지만, 친박계는 오히려 해당(害黨)행위를 한 탈당파의 반성이 우선이라는 주장이다. 

홍 의원은 또 "빨간색이 어떻고 당 이름이 어떻고 경제민주화가 어떻다고 하는데 왜 말들을 함부로 하냐"며 "(특정인을 겨냥해) 대권후보로 안 된다고 하는데 누가 칼질하라고 특권을 줬냐"고 전 위원의 발언을 지적했다. 

앞서 전 위원은 2012년 대선에서 박 전 대통령의 승리 요인으로 여겨졌던 '경제민주화' 강령 도입과 당명 개정 등을 '침몰의 시작'으로 규정한 바 있다. 전 위원이 박 전 대통령을 정면 비판하며 홍준표‧김무성 의원 등 특정인의 불출마를 거론한 것에 대해 노골적인 불쾌감을 드러낸 것이다. 

이같은 중진의원들의 발언이 이어지는 동안 김 비대위원장과 김 원내대표는 침울한 표정으로 한숨을 짓기도 하는 등 불편을 기색을 드러내기도 했다. 다만, 계파 갈등이 확산될 것을 우려해 이같은 반발을 수용하는 동시에 탄핵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