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배 기자] 2019년 북한 경제가 더욱 수렁에 빠질 것이며 보유한 외화가 내년 안에 소진하게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5일 미국 소식통에 따르면 현재 북한 외화 보유액은 30억 달러~70억 달러로 추정돼 대략 1년에 10억~15억 달러가 소진되고 있다는 게 미국 정보당국의 추산이다. 따라서 이런 추세라면 내년 말쯤엔 외화보유액이 바닥이 날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는 것.

소식통은 이렇게 되면 북한도 더 이상 제재압박에서 견뎌내기 힘들 것으로 보여, 완전 비핵화에 두 손 들고 나올 수밖에 없다는 게 미국정가의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문제는 중국의 시진핑 주석의 원조(?)가 뒤따를 수 있다는 점에서 '김정은의 버티기'는 생각보다 시간을 끌어갈 수도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또 대내외적으로 심각한 경제적 신호가 명백히 감지되고 있음에도 북한경제가 무너지지 않는 것은, 북한체제 특유의 강력한 시장 안정화 정책과 가격통제로 가격 상승압력을 인위적인 누르고 있기 때문인 셈이다.

미국 정가는 중국이 앞에서는 대북제재를 하는 척 하면서 속으론 적극 지원하고 있는 모습이어서 유엔을 비롯한 서방국가들은 중국의 북한 돕기에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는 여론이 팽배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현재 트럼프가 북한제재 압박을 강력하게 펼치지 못하는 이유는 자칫 핵전쟁으로 치달을 경우 이에 따른 재선의 리스크 부담을 고스란히 짊어져야 한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반면 볼턴 백악관 국가 안보보좌관 등 대북강경파들은 북한을 더욱 압박해야 핵을 포기할 것이라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어떻든 북한 외화보유액이 바닥을 드러내 보일 경우 환율이 뛰고 민생고는 점차 어려운 국면으로 치달을 것으로 보여 북한경제는 '제2 고난의 행군'이 우려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북한정부의 체제 붕괴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최대의 '핫이슈'로 등장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앞서 지난달 4일 국회입법조사처는 '북한 경제의 현황과 2019년 전망' 보고서를 통해 "대북제재 효과에 따른 북한무역의 질적 저하와 수출입 급락으로 인한 유동성 문제가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이미 북한 경제가 위기국면에 접어들었다는 비관론이 제기된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