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대책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김민호 기자] "광복을 맞이 한 1945년은 “대한민국이라는 나라 이름조차 아직 정해지지 않은 시점이었다”

나경원 원내대표가 15일 광복절 기념식에 불참하고 중국 충칭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를 방문한 뒤 자신의 페이스북에 뜬금 없이 올린 글이다.

 나 대표는 “74년 전(1945년) 오늘 우리 민족은 일제 식민강탈로부터의 해방이라는 기쁨을 맞이함과 동시에 어떤 대한민국을 만들 것인가라는 고민도 함께 맞이했다. 아니, 사실 ‘대한민국’이라는 나라 이름조차도 아직 정해지지 않은 시점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는 1897년 10월 11일 고종 황제가 “우리나라는 곧 삼한의 땅인데, 국초에 천명을 받고 하나의 나라로 통합되었다”며 “지금 국호를 ‘대한(大韓)’이라고 칭한다고 해서 안 될 것이 없다”라며 국호를 ‘대한’으로 정한 데서 유래한다.  이 국호를 이어받은 곳이 바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다. 1919년 4월 10일 중국 항해에서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회의가 열렸을 때 신석우(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교통총장을 지낸 인물)는 “대한으로 망했으니 대한으로 흥하자”며 제안하고 공화제를 뜻하는 ‘민국’을 덧붙여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를 제안했다. 이후 1948년 제헌국회가 이 국호를 물려받아 헌법에 명시함으로써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적었다.

이 때문에 나 원내대표가 역사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거나, 임시정부가 선포한 헌법을 인정하지 않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누리꾼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나 대표의 이같은 주장에 “대한민국의 뿌리를 부정하는 것”이란 비판이 제기됐다.

정치연구소 ‘싱크와이’의 김성회 소장은 페이스북에서 ‘대답하라나경원’ 해시태그를 달고 “1919년 4월 11일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선포한 최초의 헌법을 당신은 인정하는가”라며 “대한민국의 뿌리를 부정하는 반국가세력인지를 묻는 것”이라고 물었다.
  
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반포해 ‘대한민국’을 국호로 정했다. 1948년 5월 제헌국회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계승한다’는 정신 아래 ‘대한민국’을 국호로 채택했다.
  
김 소장은 “1945년은 국호도 안 정해진 혼란한 상태였다는 (나 원내대표의) 말은 대한민국 건국이 해방 이후에 벌어진 일이라는 생각이 뱉어낸 말”이라며 “나 의원의 인식 체계에선 해방 전에 국가가 없으니 1945년 8월 15일은 남이 우리를 해방해준 기쁜 날로 보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36년 일제 치하에 대한민국의 이름을 걸고 싸우다 산화한 호국영령을 무시하는 말이기 때문에 분노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나 원내대표는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를 만들자”는 문재인 대통령의 8·15 경축사에 대해 “이 대한민국을 가장 세차게 흔드는 이들이 바로 문재인 정권”이라며 “끊임없이 우리를 위협하고 흔들어대는 북한 앞에 관대를 넘어 굴욕을 보이는 이 정권이야말로 지금껏 가장 위험하고 불안한 대한민국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비난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