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영신 육군참모총장 내정자
[신소희 기자] 신임 육군참모총장에 창군 사상 처음으로 학군(ROTC) 출신이 21일 내정됐다. 수십 년에 걸친 육군사관학교 독식 체제가 깨지는 상징적인 날이다.

정부는 이날 인사 발표 보도자료에서 "서열과 기수, 출신 등에서 탈피해 오로지 능력과 인품을 갖춘 우수인재 등용에 중점을 뒀다"며 "창군 이래 최초로 학군장교 출신인 남영신 대장을 육군참모총장으로 발탁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1969년 육사 1기인 서종철 제19대 참모총장 이후 50년 만에 '육사 출신 대물림'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됐다. 서 전 총장 이전에는 창군 주역이었던 군사영어학교와 일본군·만주군 육사 출신들이 육군 참모총장을 맡아왔다.

육군 참모총장뿐만이 아니다. 한국 현대사를 돌아보면 육사 출신들은 5·16 쿠데타 이후 박정희·전두환·노태우 정권에 이르는 32년의 군사통치 기간 장·차관과 국회의원 등을 지내며 권세를 쥐었다.

1993년 김영삼 문민정부 출범으로 끝나는 듯했던 '육사 전성시대'는 박근혜 전 대통령 때 다시 시작됐다. 박 전 대통령은 남재준(육사 25기), 김장수(27기), 박흥렬(28기), 김관진(28기), 한민구(31기) 등 육사 출신들만 국방 요직에 배치했다.

이렇다보니 박 전 대통령 탄핵을 통해 출범한 문재인 정부로선 육사 배제를 정책 기조로 삼을 수밖에 없었다.

현 정부의 군 인사를 거치면서 육군 내 육사 비율은 낮아지고 있다. 박한기 합동참모본부 의장(학군 21기)과 육군3사관학교 출신 황인권 2작전사령관(3사 20기)이 대장을 달았다. 또 이번 정부에서 국방장관과 합참의장은 육사가 모두 배제된 송영무(해사 27기)-정경두(공사 30기), 정경두-박한기로 짜여졌다.

육군 중장 20명 중 비육사 출신도 늘어나는 추세다. 이진성 지작사 부사령관(3사 22기), 최진규 수도군단장(학사 9기), 박상근 3군단장(학군 25기), 박양동 6군단장(학군 26기), 허강수 7기동군단장(3사 23기) 등 비육사 출신이 약진하고 있다.

그럼에도 육사는 육군 참모총장 자리만은 내주지 않았다. 육군 내부 인사권을 쥔 참모총장만은 내줄 수 없다는 기류가 형성돼있었기 때문이다. 비육사 육군 참모총장이 탄생하면 육군 인사행정체계 등에 상당한 변화가 불가피해 육사 출신들의 인사 상 불이익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앞서 청와대는 지난해 4월 육군 참모총장에 비육사 출신을 앉히려 했지만 결국 서욱 현 국방장관을 참모총장으로 임명했다. 당시 군 내부에선 국방장관과 합참의장이 각각 공군, 학군단 출신인 상황에서 육군 참모총장마저 비육사 출신을 임명하면 군 조직이 크게 흔들릴 것이란 의견이 많았다.

그랬던 청와대는 이번에는 육사의 육군 참모총장 독점을 끝냈다. 육사 출신인 서욱 육군 참모총장을 국방장관으로 발탁하는 대신 참모총장 자리를 비육사에게 내주는 일종의 절충안을 마련한 것이다. 당초 문재인 대통령은 국방장관 자리에 3사관학교 출신의 이순진 전 합참의장을 염두에 뒀지만, 육군 참모총장 자리를 가져오기 위해 결국 일종의 정치적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육군 참모총장을 제외한 다른 요직에 육사 출신을 앉힌 점도 눈길을 끈다. 정부는 육군 지상작전사령관에 육사43기 안준석, 2작전사령관에 육사42기인 김정수를 배치했다. 참모총장 자리를 내준 육사 출신들을 달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