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일보 편집국장/대기자
코로나19 대유행이 선언된 이후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24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우리나라만 해도 소강상태와 폭증상태를 오가는 패턴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의견을 수렴하거나 대표를 선출하는 등 ‘선거’를 치르기란 어려운 일이다. 
 
지난 4.15. 총선은 단 한 건의 투․개표 관련 확진자 발생 없이 종료됐지만, 아직 다수가 모여 선거를 치른다는 것은 시기상조란 지적이다. 이때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온라인투표시스템은 훌륭한 대안이 된다. 이를 위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공공․민간영역 2가지로 나눠 온라인투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찬반투표, 선택투표 등 다양한 투표방식을 선택해 이용할 수 있으며 신속․정확한 개표 서비스까지 가능한 시스템이다. 또한 투표 관련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부정선거 및 조작 가능성을 배제했다. 
 
사용절차도 어렵지 않다. 간단한 신청서 작성 후 관할 선거관리위원회의 안내를 받아 투표를 진행하면 된다. 최근 대한변협, 대한체육회, 수협중앙회등 수장을 뽑는 선거 역시 이같은 '온라인 투표 시스템'을 택했다. 
 
헌정회가 오는 3월23일 회장을 선출한다. 헌정회는 국회의원 출신들의 모임으로 정회원이 무려 1,175명이나 된다. 문제는 헌정회가 회장선거를 하면서 일반 사회단체도 비대면으로 모바일투표를 실시하는데 굳이 투표소를 마련해 현장투표를 하겠다고 한다.
 
'국회의원 출신들은 코로나 특권층인가? 명색이 국회의원 한번만 하면 이래도 되는 것인가?'라는 화가 치민다.
 
헌정회가 사용하는 사무실이 국회내에 있다. 세금으로 지어진 '헌정관'이라는 독자건물을 사용할 뿐만아니라 120만 원의 연로회원 지원금도 받는다. 초특급 특권층이다. 
 
그렇다면 헌정회는 왜, 현장투표를 고집할까? 그 이유는 간단하다. 헌정회원 중에 모바일 투표도 못하는 수준이하의 회원들이 많다는 것이다. 부끄러운  일이다. 시골 노인들도 다 하는데  말이다. 
 
어제 만난 한 전직 의원은 "코로나 시국에 전자투표를 하는 게 마땅하다. 코로나가 아니더라도 투표율을 높이고 회원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모바일투표를 실시하는 게 시대적 추세다. 헌정회가 솔선하지 못하고 뭐(?)에 홀린 것 같다."고 했다.
 
뭐가 잘못되도 한참 잘못된 듯 싶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