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창희 前충주시장/시사플러스 칼럼니스트
여권 정치권력의 핵심에 586(50대, 80년대 학번, 60년대 출생)세대가 자리하고 있다. 586세대는 과거 전대협(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출신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우상호 의원 등이 선두주자다. 586세대는 주로 더불어민주당에서 활동한다. 586세대는 21대 국회에 무려 169명 56.3%가 입성했다. 현재 여의도 정치는 586세대가 좌지우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586세대는 전대협이 주축이다.
 
전대협은 학생시절부터 학생운동을 함께 하며 조직적으로 활동했다. 지금도 자기들끼리 서로 챙겨 "자기들끼리 다해 먹는다"는 소리를 듣는다. 학생시절에는 민족해방운동, 노동운동을 주도했다. 막스 레닌을 연구하고, 주사파도 있다. 그들의 주장이 북한의 주장과 비슷해 종북(從北), 나아가 빨갱이 취급을 받기도 했다. 이들은 6.10학생운동을 주도하여 6.29선언을 이끌어내 민주화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노무현, 문재인 정부를 탄생시키는 주역이 되기도 했다. 틈만 나면 대권에 도전하려고 한다. 이재명 지사는 전대협 출신이 아니라 586세대의 서자 취급을 받는다.
 
문제는 문재인 정부 출범후 통치과정에서 이들이 보여준 이분법적 진영정치가 도마 위에 올랐다. 적폐청산이라는 미명하에 국민들의 갈등과 분열만 조장했다는 것이다. 
 
적폐청산은 잘못된 폐습을 청산하는 게 아니라 정적들을 친일 토착왜구로 매도하여 섬멸하는데 이용했다는 것이다. 이들이 핵심역할을 하는 문재인 정부가 검찰개혁을 추진할때만 해도 많은 국민들이 이들의 순수성을 믿었다. 야당인 미통당(국민의힘 전신)이 공수처법을 결사반대하니까 총선에서 무려 180석이나 밀어주었다. 민주당이 소신껏 책임정치를 하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은 개혁도 제대로 못하고 윤석열 검찰총장만 스타를 만들어 주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부동산 정책의 실패로 국민들은 실망했다. 여기에 LH공사 직원들의 땅투기가 도화선이 되어 국민, 특히 2030세대들이 화가 났다. 이들의 분노는 4.7보궐선거에서 야당인 국민의힘을 압도적으로 밀어주는 것으로 표출됐다.
 
국민들은 586세대의 진영정치에 지쳤다. 새로운 대안세력이 필요하다. 세대교체와 민생정치를 주창하는 497세대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497세대는 "40대, 90년대 학번, 70년대 출생자" 들이다. 한마디로 586세대 10년 후배들이다. 이들은 민주화운동 이후 세대다. 학생운동이 아니라 순수 학생활동을 한 세대다.
 
이들은 이분법적 진영논리 보다 민생문제, 생활경제에 역점을 둔다. 실사구시를 추구한다. 맹자의 ‘무항산(無恒産) 무항심(無恒心)’이 국가운영의 기본이 돼야 한다고 주창한다. 올바른 정치는 국민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없어야 가능하다고 역설한다. 정치가 이념보다 먹고사는 민생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중요한 것은 후생가외(後生可畏)라고 후배들이 두려운 존재다. 586세대라고 후배들이 따르지 않으면 소멸되는 것은 시간 문제다. 지금까지 586세대가 건재한 것은 청년들이 그들을 지지했기 때문이다. 이번 4.7보궐선거에서 보여줬듯이 2030세대가 민주당에 등을 돌렸다. 다시 말해 진영정치를 하는 586세대에 등을 돌린 것이다. 
 
그들은 진영정치를 타파하고 민생정치를 하자는 497세대에 눈을 돌리고 있다. 강민국 김웅 의원 등이 주축이된 497세대 국힘당 초선 쇄신모임인 "지금부터"가 뜨기 시작했다. 그들은 진영정치 타파, 민생정치를 주창하며 대표와 최고위원 경선에도 도전한다. 
 
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이 4.7보궐선거 완패후 당직자들의 사퇴로 전당대회를 앞당겼다. 민주당은 5.2전당대회를 계기로 586 정치인들이 전면에 나선다. 문제는 586 정치인들이 이제는 정의롭지도 못하고, 신선해 보이지도 않다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대선전략으로 497세대에게 힘을 실어주려고 한다. 497세대들이 나서야 586세대가 주축인 집권 민주당을 대선에서 제압할 수 있다는 것이다.
 
2030세대의 지지를 두고 497세대 정치인들과 586 세대 정치인들의 한판 승부가 흥미진진해 보인다. 2030세대는 큰 형 편을 들까? 작은 형 편을 들까?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