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19일 오전 서울 용산구 숙대입구역 사거리에 6.1 지방선거 후보들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심일보 대기자] 6.1지방선거가 보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공식 선거운동이 19일 시작됐다. 대통령 선거를 통해 여야가 뒤바뀌면서 자치구청장 지형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4년 전 서울의 25개 자치구 구청장 선거에서는 당시 여당이던 민주당이 24곳을 휩쓸었다. 한국당(국민의당 전신)이 승리한 곳은 서초구 1곳 밖에 없었다.
 
하지만 여야가 뒤바뀐 이번 선거에선 구청장 지형에도 변화가 생길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국민의힘은 이번 6·1 지방선거에서 서울 탈환을 벼르고 있다. 
 
국민의힘 서울시당위원장인 박성중 의원은 전날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1차적인 목표는 25개 구청장 선거 중 20개는 승리하는 것이고, 서울시의회는 112석 중 80석은 차지하는 것”이라며 “지금과 같은 분위기가 이어진다면 충분히 가능하리라 본다”고 말했다.
 
매체에 따르면 국민의힘이 이번엔 서울 탈환을 기대하는 배경에는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의 인기가 있다. 오 후보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50% 내외의 지지율을 보이며,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약 20%포인트 차로 앞서고 있다. 국민의힘은 오 후보가 서울시장에 당선될 경우 구청장이나 시의원도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지방선거는 같은 정당의 광역·기초지자체장, 광역·기초의원 후보를 연달아 찍는 ‘줄투표’ 경향이 있어서다. 실제로 2006년 오 후보가 서울시장에 당선됐을 때 당시 한나라당은 25개 구청장을 싹쓸이 하기도 했다.
 
이들 구 중에 중에 용산구가 6.1지방선거를 앞두고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이 물러나 현역이 없는 데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이슈로 구민들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기 때문이다.
 
지난 17일 뉴스핌에 따르면 용산구는 민선 5기부터 7기까지 민주당 소속 성장현 구청장을 선택했다. 6기와 7기 득표율은 각각 50.1%, 57.9%로 압도적 승리였다. 민주당 우세 지역으로 분류되는 강북서권(마포·서대문·용산·은평·종로·중구) 지역에서 용산구도 예외는 아니었다.
 
하지만 지난 2020년 치러진 21대 국회의원 선거를 기점으로 보수세가 강해졌다. 권영세 의원(47.8%)이 당시 민주당 소속 강태웅 후보(47.1%)를 아슬아슬하게 꺾고 당선됐다. 이후 20대 대통령 선거에선 국민의힘이 득표율 56.4%를 기록하며 새 역사를 썼다.
 
박희영 후보는 현재 이 같은 상황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실시된 보궐선거에서도 용산구민들은 보수 진영에 선 오세훈 서울시장을 뽑았다. 오 시장은 25개구에서 모두 과반을 득표했다.
 
용산구의 가장 큰 현안은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따른 구민들의 재산권 침해 여부다. 군사·주요 시설 등 영향으로 추가 고도제한은 물론 재건축·재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부정적 우려가 나오면서다.
 
이에 대해 박희영 국민의힘 후보는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관련해 "고도제한은 물론 재건축·재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부정적 우려에 대해 규제는 있을 수 없고 만약 고도제한 등 추가 규제가 있을 경우는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또한 "'용산 대통령 시대'를 강조하며 모두가 부러워하는 대표 상징이 될 수 있는 용산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박 후보는 "용산구 면적의 3분의 2 이상이 개발 예정지 혹은 개발 중이지만, 대부분은 예정지"라며 "주거 환경이 열악한 곳들이 많고, 재산권을 지키려는 구민들의 열망도 크다. 이 같은 구민 입장이 정부와 서울시에 반영될 수 있도록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김철식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서울시민과 용산구민 재산권 지키기 운동 본부'를 발족하고 적극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만약 구민들의 재산권 피해가 발생할 경우 법적 대응을 통해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