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기립 및 고정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정재원 기자] 오늘 발사되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에는 한국형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국내 산·학·연의 역량이 모두 결집되어 있다. 프로젝트 자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항공우주연구원 등의 주관 하에 이뤄졌지만, 국내 산업체의 영향이 지대한 만큼 누리호 발사가 현 정부의 '우주산업 민간확대' 기조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 기관의 경우 항우연이 누리호의 발사체 시스템을 총괄해 핵심 기술 개발 및 발사장 등 기반시설 구축, 발사 운영 등을 담당했다. 학계에서는 누리호에 탑재되는 '큐브위성' 개발을 도맡았고, 300여 개 산업체가 핵심 부품·서브 시스템 제작, 발사체 총조립 등 개발에 참여했다.
 
항우연에 따르면 누리호 개발에 참여한 주력 참여 30여 개 기업에서만 약 500명의 개발 인력이 참여했다. 이외에도 이들 산업체는 누리호 개발 초기부터 기술, 인력, 인프라 등을 지속 투자해 누리호 총 사업비의 약 80%에 달하는 약 1조5,000억 원이 산업체에서 집행한 것으로 집계됐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가장 중요한 추진기관·엔진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주축이 돼 총조립을 진행했고, 탱크·동체 등의 구조체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두원중공업·이노컴 등이 참여했다.
 
각종 유도제어·전자 시스템에는 스페이스솔루션·시스코어·한화 등이, 안전 확보를 위한 열·공력 분야에는 한양이엔지·지브리엔지니어링·에너베스트가 기여했다. 현재 누리호가 기립되어 있는 발사대 구축은 현대중공업·한양이엔지 등이 담당했다. 이같이 마련된 체계의 총조립은 KAI가 맡았다.
 
누리호 발사에 성공할 경우 우주로 사출될 큐브위성 4개는 조선대학교·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제작했다. 누리호가 예정대로 발사된다면 큐브위성들은 위성 안정화를 위해 오는 29일부터 이틀 간격으로 1기씩 순차적으로 사출된다. 사출된 큐브위성들은 6개월~1년간 활동하며 지구관측, 미세먼지 모니터링 등의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산업계가 누리호 프로젝트 진행에 크게 기여한 만큼 누리호 발사 성공이 10년 안에 1조 달러 규모로 커질 항공우주 산업 분야에서 국내 기업들이 입지를 키우기 위한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정부는 이날 진행될 누리호 2차 발사 이후에도 국가 주도의 우주사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이들 사업에도 민간기업의 참여 정도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당장 우주 수송 능력 확보 등을 위해 오는 2027년까지 진행될 향후 누리호 발사 계획의 경우에도 차소형 위성(차세대소형위성) 2호, 초소형 위성 1~11호를 반복 발사하고, 발사체 기술의 민간 이전을 통해 체계종합기업을 육성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내년부터 2031년까지 추진하는 것으로 계획된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 또한 차세대 발사체를 개발하는 것과 더불어 국내 액체로켓 엔진 개발기술 선진화 및 우주탐사 능력 확대를 목표로 하는 만큼 국내 기업이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에서도 '뉴스페이스 시대'에 대비해 우주산업에 민간기업 참여를 확대하는 기조를 보이고 있는 것도 호재다. 이달 초 국무회의에서 통과한 우주개발진흥법 개정안은 우주개발 사업에 계약방식 도입, 공공기관 보유 인프라 민간 확대 개방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해당 개정안은 늦어도 내년 초부터 시행될 가능성이 크다. 
 
이미 우주산업 선진국에서는 스페이스X, 버진갤럭틱, 블루오리진 등의 기업들이 민간 우주여행 시대를 선도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정부의 '우주산업 빗장 풀기'가 누리호 2차 발사 이후 추진될 차세대 우주산업들의 시행 시기와 겹치는 만큼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