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09년 첫 삽을 뜬 '롯데센터 하노이'가 5년여 만인 올해 9월 2일 베트남 독립기념일에 오픈한다.'롯데센터 하노이'는 부지면적 1만 4천여㎡에 지하5층 지상 65층으로 연면적이 25만 3천여㎡이며 높이 272m로 베트남에서 처음 선보이는 최첨단 인텔리전트 복합빌딩이다.
대기업들이 신규 순환출자금지 제도 시행을 앞두고 기존 순환출자 고리를 대폭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가 27일 발표한 '2014년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집단) 계열사간 순환출자 현황'에 따르면 63개 대기업집단 가운데 14개 집단이 483개의 순환출자 고리를 형성하고 있었다.

신규순환 출자 고리 수는 전년(9만7658개) 대비 9만7175개(99.5%)나 감소했다.

순환출자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대기업집단은 삼성, 현대자동차, 롯데, 현대중공업, 한진, KT, 금호아시아나, 대림, 현대, 현대백화점, 영풍, 한라, 현대산업개발 14곳이다.

순환출자 대기업집단 수는 전년 대비 1개 감소하는데 그쳤다. 순환출자 고리가 해소된 집단은 동부가 유일했다. 반면, KT가 신규로 포함됐다. 올해 대기업집단에서 제외된 동양을 제외하면 사실상 지난해와 변화가 없는 셈이다.

순환출자 고리는 A→B→C→A 식으로 한 계열사가 다른 계열사에 자본을 출자해 그룹 내 여러 기업의 지분을 소유하는 방식으로 부실계열사 지원이나 총수일가의 편법적 상속·증여 등의 수단으로 악용돼왔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올해 신규 순환출자를 금지하는 공정거래법이 도입돼 이들 기업은 앞으로 신규로 순환출자를 늘릴 경우 주식 취득가액의 10% 내에서 과징금을 물어야 한다.

순환출자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14개 대기업집단 가운데 KT를 제외한 13개는 총수가 있는 집단이다. 483개 순환출자 고리 내에 포함된 계열사 수는 총 83개로 기업당 평균 5.8개의 순환출자 고리를 형성하고 있었다.

◇롯데 순환출자 고리 대폭 줄였지만 여전히 1위

그룹별로 롯데가 지난해(9만5033개)에 비해 9만4616개나 감소했지만 417개로 여전히 가장 많았고, 삼성 14개, 현대·한솔 각각 9개, 한진 8개, 영풍 7개, 현대자동차 6개, 현대산업개발 4개, 현대백화점 3개 등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롯데는 "롯데의 순환출자고리가 타그룹에 비해 많은 것은 계열사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신격호 총괄회장의 계열사 보유주식 무상증여, 계열사간 합병 등 경영상 이유에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정위는 "경제민주화 핵심과제로 도입된 신규순환출자 금지제도의 시행을 앞두고 상당수 대기업집단이 순환출자를 자발적으로 해소했다"며 "순환출자 고리 수를 대폭 축소하면서 순환출자형태가 단순화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가운데 한진(5개)과 현대(4개), KT(2개)는 올해 순환출자 고리가 오히려 증가했다.

한진은 순환출자 고리 내 주요회사를 인적분할해 지주회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순환출자 고리가 5개 늘어났고, KT는 계열사간 합병과정에서 순환출자 고리 2개가 새로 형성됐다.

이외에도 그룹 내 상호출자를 해소하기 위해 상호출자 주식을 다른 계열사에 매각한 결과, 순환출자가 일부 증가했다.

대표적으로 롯데그룹의 경우 전체적인 순환출자 고리 수는 줄었지만 롯데쇼핑과 롯데제과간 상호출자를 해소하기 위해 롯데쇼핑이 롯데제과 지분을 대홍기획에 매각하면서 오히려 순환출자 고리가 111개 늘어났다.

합병·지주회사 전환 등 사업구조 변경과정에서 일부 증가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 현대자동차는 제3자 지분매각으로 순환출자 고리 수 4개가 감소했지만 계열사간 합병과정에서 고리 수 3개가 새로 발생했다.

현대는 계열사 출자로 순환출자 고리수 4개가 증가했다. 현대유엔아이가 현대글로벌의 지분을 취득하고, 현대증권이 현대유엔아이의 유상증자에 참여하면서 신규로 순환출자 고리가 발생했다.

공정위는 "순환출자 고리 수가 대폭 감소하고 완전해소한 집단도 출현하면서 대기업집단의 소유구조가 단순·투명해지고 금산분리도 제고됐다"며 "특정금전신탁 등을 이용한 탈법적 신규순환출자 행위를 면밀히 감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