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은행 본점 전경
민영화 전환 이후 첫 광주은행장에 누가 오를지 지역 정·관·재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자행(自行·광주은행) 출신 첫 행장 탄생 여부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시기상조라는 지적과 함께 정치권 외압설에 낙하산 인사설까지 각종 설(說)이 나돌고 있어 현재로선 예측불허 형국이다.

이런 가운데 노조와 일부 시민단체는 향토은행에 걸맞는 자행 출신을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나서 이목이 쏠리고 있다.

노조, 시민단체가 자행 출신을 요구하는 까닭은 뭘까. 반 백년 자행 출신을 배출하지 못한 자괴감에다 향토은행이라는 특성, 투뱅크(Two-Bank) 정책 등을 주된 이유로 내걸고 있지만, 반론도 만만찮아 이들의 주장이 인선 작업에 반영될 지는 미지수다.

◇역대 행장 11명, 전원 외부 수혈

광주은행은 1967년 서봉균 당시 재무부장관이 "부산, 대구, 광주에 지역 개발에 필요한 자금확보책의 하나로 지방은행을 허가할 방침"이라고 지방은행 설립에 불을 지친 뒤 준비위원회 구성, 인가 등을 거쳐 이듬해 11월 탄생했다.

이후 46년 간 배출된 '광주은행장'은 모두 11명. 진강현 초대 행장을 시작으로 2대 김희룡, 3대 문방흠, 4대 고병욱, 5대 송병순, 6대 박영수, 7대 강락원, 8대 엄종대, 9대 정태석, 10대 송기진, 현 11대 김장학 행장까지 11명이 광은을 이끌거나 이끌고 있다. 짧게는 1년, 길게는 8년 간 행장직을 수행했다.

특이한 점은 전원 외부수혈이라는 점. 외부인사인 진·김 행장의 뒤를 이은 3대 문 행장은 농협중앙회장 출신이다. 또다른 외부인사인 고 행장에 이어 1995년에는 은행감독원장을 지낸 송병순 행장이 취임했고, 이어 한국기술금융회장을 지낸 박영수 행장이 6대 행장에 올랐다.

7대 강 행장은 제일은행 상임이사, 8대 엄 행장은 국민리스 사장, 9대 정 행장은 교보증권 사장, 10대 송 행장은 우리은행 부행장, 11대 김 행장은 우리금융지주 부사장 출신으로 줄줄이 외부 수혈됐다.

반면 대구은행은 초대 김준성, 6대 홍희흠 행장을 제외하고 9명 모두 자행 출신 행장이다. 대구은행은 소위 '낙하산'을 막기 위해 현 행장이 임기를 반년 가량 남겨두고 자행 출신 행장을 선임한 뒤 퇴사할 만큼 자행 출신 행장이 시스템화 돼 있다.

부산은행도 9대까지 줄곧 외부 인사가 행장을 차지했으나 2006년 자행 출신 이장호 행장이 취임한 이후 10대 성세환 행장까지 8년 동안 내부 출신이 이끌고 있다.

광주은행과 함께 우리은행 자회사로 편입됐던 경남은행도 5대 김형영, 6대 이춘영 행장에 이어 지난 2월 BS금융지주와 상생협약 체결 후 손교덕 행장이 자행 출신으로는 3번째로 은행장에 취임했다.

◇노조-시민단체 '자행 출신 요구' 왜?

광주은행 노조는 "자행 출신 선임은 JB금융 편입에 따른 지역민들의 상처난 자존심, 상실감에 빠진 민심을 아우르고 치유할 수 있는 지름길일 뿐아니라 지난 2월 JB금융과 합의한 '자율경영권 보장'의 첫 단추"라는 입장이다.

또 "지방은행은 지역정서와 강하게 밀착돼 있어 외부인사가 선임될 경우 민심을 파악하고 상공인 등 인적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시간이 필요하고, 결국 이는 영업손실과 업무 차질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도 강하다.

앞서 지난 8월 1500여 직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도 자행 출신을 요구하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기홍 광주경제정의실천연합 사무처장은 14일 "JB와 광주은행이 진정한 화학적 결합을 하기 위한 첫 조건은 자행 출신 행장이고, 투뱅크(Two-Bank) 정책과도 맞아 떨어지는 부분"이라며 "지배력 강화를 위한 인사를 강행한다면 내부 반발과 함께 외부, 즉 지역사회 협력을 이끌어 내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경실련은 지난해 이순우 우리금융지주 회장 취임 후 낙하산 인사가 예상되자 "광주은행 정상화가 요원해질 수 있다"며 "지역의 요구를 반영해 지역경제 기여 등의 책임을 다할 수 있는 행장을 선임해 줄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시기상조론에 정치권 외압설까지

반론과 걸림돌도 적지 않다. 우선 자행 출신을 배출한 부산과 대구, 경남은행은 자산규모(신탁포함)가 30조원을 넘긴 반면 광주은행은 올 상반기 20조6485억원으로 20조원에 턱걸이한 상황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최소 25조원에서 30조원 규모는 돼야 자행 출신 배출의 기본적 환경이 조성된다는 말도 있다"고 말했다.

JB금융지주의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한 가운데 경우에 따르서는 'JB맨'이 직접 내려올 수 있고, 현 행장의 유임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점도 적잖은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정치권의 경제권력을 중심으로 소위 '낙하산 인사'를 내려 보낼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돌고 있어 민영화 첫 행장 선임은 당분간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역금융계에서는 광주은행 민영화 일정 등을 감안해 볼 때 다음달 중으로 금융위원회의 자회사 편입 최종 승인과 민영화 첫 행장 인선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