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첫 ‘청문회’ 검증..2월 중준까지 지명해야..

[심일보 기자]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의 임기 만료가 두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후임 총재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금 이른 감이 없지 않으나 이번부터 한은 총재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최초로’ 실시된다.

청문회 일정을 감안하면 ‘과연 누가 될지’에 대한 관심이 빠르지 않다는 말이다.

그런 만큼  청와대의 움직임에 관심이 쏠리고 있지만 아직까지 인사권을 쥐고 있는 청와대에서는 별다른 분위기가 감지되지 않고 있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최근 한 인터뷰에서 차기 한은 총재를 '널리' 찾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듯 아직은 ‘오리무중’이다.

 

▲ 한국은행 본점


조금 거슬러 올라가 보면,

2010년, 당시 유력 한은 총재 물망에 올랐던 이는 어윤대 국가브랜드위원장이었다. 고려대학교 총장을 지낸 어 위원장은 이명박 대통령의 고려대 경영학과 후배로 친분을 쌓은 대표적 친 이명박계 인물로 잘 알려져 있었다. 그런 만큼 차기 한은 총재에 ‘0순위’로 물망에 올랐고 이외에 박철 전 한은 부총재, 청와대 경제수석 출신 김중수 경제협력개발기구 대사, 김종창 금융감독원장 등이 하마평에 올랐다.

그러나 예상을 깨고 현 김중수 한은 총재(당시 경제협력개발기구 대사)가 총재 자리에 올랐다.

인사에 인사요, 예상은 예상일 수밖에 없다.


<시사플러스>에서 조사한 그동안 언론에 등장한 인물을 살펴보면 크게 3개 군(君)로 나뉘는데,


먼저, '정권을 도왔다(?)'는 군이다.

 

거론 인물은 이덕훈(전 우리은행장), 김광두(,국가미래연구원장) 등이다.


이덕훈 전 행장은 금통위원을 역임했을 뿐 아니라 금융분야를 오래 연구했고 실제 금융권에도 몸 담았기 때문에 시장을 잘 안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무엇보다 서강대금융인회의 수장역할을 하고 있고 박 대통령과 가깝다는 점에서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2012년 설립한 사모펀드(PEF) 키스톤프라이빗에쿼티(PE) 회장을 맡았다가 별다른 실적을 거두지 못했다는 평을 듣고 있다.


김광두 원장은 박대통령의 ‘경제교사’로 불릴만큼 박근혜노믹스 설계에 깊이 관여해서 현 정부의 정책철학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하지만 김 원장은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정부에 대한 비판을 많이 해서 정권과 관계가 다소 소원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둘째로 학자 군이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인물은 조윤제 서강대 교수와 김대식 중앙대 교수다.


조윤제 서강대 교수는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IMF)에 근무한 국제기구 출신이라는 점과 전문성이 있고 대외여건에 맞춘 통화정책을 할 수 있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또 대통령 경제보좌관(차관급), 영국대사 등 정부에 몸담았기 때문에 정부정책 이해도가 높으면서도 학계출신으로 이론도 겸비했다. 다만 노무현 정권시절 ‘폴리패서’란 지적을 피하기가 어렵게도 보인다.


김대식 중앙대 교수는 한은 출신으로 4년간 근무한 것이 부각되고 있고, 지난 2012년까지 금통위원을 역임했다는 점이 돋보인다 . 다만 지명도는 다소 떨어진다는 지적이 다소 흠으로 작용한다.


셋째로 내부 출신 군이다.


거론되고 있는 인물은  이주열 전 부총재와 박철 전 부총재 등이다.


이주열 전 부총재는 온화하고 합리적인 업무스타일을 갖췄고 한은의 핵심 보직인 조사국장과 정책기획국장을 거쳐 통화신용정책 담당 부총재보를 지냈다. 그런만큼 통화정책 전문성에서는 매우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은 내부 조직을 잘 알고 있어서 김중수 총재 취임 후 큰 소용돌이를 겪은 한은 직원들을 잘 소통한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번 차기 총재에 가장 많이 입에 오르는 것(?)이 부담일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박철 전 부총재는 탄탄한 실력과 훌륭한 인품을 갖췄고 통화정책과 금융경제 전반에 대한 이해가 깊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호통하고 개방적인 성품은 한은 직원들의 소심함과 답답함을 뛰어넘어 조직문화를 바꾸고 역동성을 회복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다소 나이가 많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문제는 '청문회'다.

2월 임시국회 기간에 청문회를 열려면 이달 중순까지는 차기 총재 내정자가 발표돼야 한다.

이번 조사 중 한 금융 임원은 “청문회를 감안, 차기 한은 총재는 장점이 많은 사람'보다 단점이 적은 사람이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청와대의 고민이 깊어지는 이유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