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배 기자]유명인의 자살이 일반인들의 모방자살로 이어진다는 '베르테르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한 국내 자살사건의 18%가 유명인 자살 1개월 이내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베르테르 효과’라고 부르는 가설이 수치로 확인된 셈이다.

성균관대의대 삼성서울병원 전홍진 교수팀은 "2005~2011년 사이 7년간 국내에서 자살로 사망한 9만484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8%가 유명인 사망 후 1개월 이내에 발생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 기간 자살 사건으로 TV와 신문에 1주일 이상 보도된 유명인은 모두 13명이었다.

이 연구팀 관계자는 "분석 결과 이들 유명인이 사망하고 나서 1개월 이내에 자살한 사람은 1만7209명으로 전체 자살의 18.1%를 차지했다. 유명인 1명이 자살한 후 1개월 동안 하루 평균 45.5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셈"이다라고 설명했다.

이는 유명인 자살 전 1개월간 하루 평균 자살자가 36.2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하루 평균 자살자가 9.4명(25.9%)이 늘어난 수치다.

이런 상관성은 유명인이 연예인이나 가수인 경우에 두드러졌다. 성·연령별로는 20~30대 여성의 모방자살 위험도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1.6배나 높았다.

전홍진 교수는 "유명인의 자살이 일반인의 자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유명인이 사망한 경우에는 언론에서 감정적이나 자극적인 보도를 자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홍진 교수는 “젊은 여성이 매스미디어에 더 민감한데다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가 더 흔하게 발생하는 것과 관련 있다”고 분석했다. 전교수는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유명인이 사망한 경우에는 사회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감정적이나 자극적인 보도를 자제해야 한다”며 “유명인이 큰 스트레스를 받거나 정신건강의 문제가 생길 경우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4월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