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호주, 양자 통화스왑 체결

앞으로 우리 기업들이 호주와의 무역에서 호주 달러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향후 한국은행은 5조원, 호주중앙은행은 50억 호주달러 규모에서 무역 결제 자금 등을 상호 지원할 예정이다.

한국은행은 23일 김중수 한은 총재와 글렌 스티븐스 호주중앙은행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통화스왑 계약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계약기간은 3년이며 만기가 되면 양국의 합의로 계약을 연장할 수 있다.

우리나라가 호주와 5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왑을 체결함으로써 지난해 12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이후 제기되고 있는 금융불안 가능성을 제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은행과 호주 중앙은행은 23일(현지시간) '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회의'가 열리고 있는 호주 시드니에서 50억 호주달러(미 달러 환산시 45억), 우리나라 돈으로 5조원 규모의 통화스왑 계약을 체결했다.

정부는 계약체결 직후 "이번 통화스왑이 한국과 호주 상호간 경제발전을 증진시킬 것"이라며 "특히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높은 시기에 무역대금을 자국통화로 계속 결제할 수 있게 보장함으로써 역내 금융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번 계약의 유효기간은 3년으로 양국의 협의에 따라 연장 가능하다.

 

▲ 한-호 교역량

◇호주, 한국 7대 교역국

양국은 지난해 10월 열린 '한-호주 정상회의'에서 통화스왑 체결 추진에 합의하고 그동안 실무적인 협상을 진행해 왔다.

호주는 우리나라 제7위의 교역국으로 무역 등 실물부분에서 중요한 거래상대국 중 하나다. 우리나라가 꾸준히 통화스왑 체결을 요청한 이유다.

지난해 양국의 총 교역량은 약 300억달러로 한국의 수출이 96억달러, 수입이 208억 달러다. 무역수지는 한국이 112억달러의 적자를 보고 있다.

하지만 양국의 교역은 서로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게 정부측 설명이다.

호주는 우라늄·철광석 매장량 세계 1위로 철광·유연탄·원유 등 천연자원을 우리나라에 수출해왔다. 반면 호주는 우리나라로부터 석유제품·승용차 등을 수입해 서로의 빈곳을 채우고 있다.

게다가 호주는 세계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가장 높은 신용등급을 받고 있다.

무디스가 Aaa, S&P가 AAA, 피치가 AAA의 신용등급을 부여했다.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가장 높은 신용등급을 받고 있는 나라는 독일, 캐나다, 노르웨이 등 10개국에 불과한 데 그중의 하나가 호주다.

특히 호주달러는 세계 외환겨래규모 5위, 외환보유액구성 6위로 우리에겐 상당히 매력적이다.

지난해 4월 국제결제은행(BIS)이 발표한 '세계 외환 및 장외파생상품 조사결과' 호주달러(8.6%)의 거래규모는 미 달러(87.0%), 유로(33.4%), 엔화(23.0%), 파운드화(11.8%) 이어 5위다.

또한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IMF의 외환보유액 구성비중은 미 달러(61.4%), 유로(24.2%), 파운드화(3.9%), 엔화(3.9%), 캐나다 달러(1.8%), 호주 달러(1.7%), 스위스 프랑(0.3%) 순이다.

정부 관계자는 "호주달러는 국제통화이자 주요 원자재통화의 위상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번 계약을 통해 양국의 경제, 금융 분야의 협력 관계가 보다 공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통화스왑 규모 총 1000억 달러

한-호 통화스왑 체결로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와 맺은 통화스왑 규모가 총 1000억 달러로 늘게 됐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4월 미국 워싱톤에서 열린 G20 회의에서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역금융안전망(RFA) 역할에 대한 국제적 공조를 촉구한 이후 꾸준히 역내 금융안전망 구축에 나선 바 있다.

기존 중국의 위안화(560억 달러), 일본의 엔화(100억 달러) 외에 UAE의 다르함화, 인도네시아 루피화, 말레이시아 링깃화 등도 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지난해 10월 우리나라는 말레이시아와 47억 달러(5조원), UAE와 54억 달러(6조원), 인도네시아와 100억달러(11조원) 규모의 통화스왑을 잇따라 체결했다.

이들 나라와의 통화스왑은 안정적인 통화거래는 물론 차선책으로 이들의 풍부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석된다.

이미 알려진대로 인도네시아는 철·니켈·석유·가스, 말레이시아는 고무, UAE는 석유 등이 풍부한 자원 부국이다.

특히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와의 견조한 국제 관계는 교역규모가 계속 늘고 있는 대(對) 아세안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높이는데도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무엇보다 한-호주 통화스왑 체결은 전세계적으로 금융안전망 강화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타결됐다는 점과 통화스왑 네트워크를 아시아 신흥국 중심에서 선진국으로 확장시키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줄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