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숙 기자】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부실 징후를 보이는 대기업을 미리 가려내기 위해 취약기업 56곳을 선정했다. 취약기업에 대한 최종 선정은 이번 달 마무리될 예정인데, 지난해보다는 늘어날 전망이다.

22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박용진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업무설명 자료를 보면, 올해 주채무계열로 선정된 39개 그룹 소속 기업체 중 56곳을 대상으로 채권은행이 재무 및 비재무평가를 실시했다. 주채무계열 관리제도는 주채권은행이 주요 대기업그룹의 재무구조를 매년 평가하고 재무상태가 악화된 그룹은 별도 약정을 맺어 재무구조 개선을 유도하는 제도다.

해당 그룹은 자율협약이나 워크아웃과 같은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돌입하는 것은 아니지만, 차입금 축소 등의 재무구조 개선 방안을 자체적으로 마련해 추진해야 한다. 금감원은 매년 금융권 신용공여액의 0.075% 이상인 계열을 주채무계열로 선정하는데 올해는 금융회사 총 신용공여액이 1조3581억 원 이상인 39개 대기업 그룹을 주채무계열로 선정했다.

이 기업군에 속한 계열사 수는 4443개다. 앞서 은행들은 2014년 42개 주채무계열을 평가해 이 중 14개 대기업 계열과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했고, 지난해에는 41개 계열 중에서 11개 대기업 계열과 약정을 맺었다. 올해는 조선·해운·건설·철강·화학 등 5대 취약 업종을 비롯해 많은 업종에서 업황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약정대상 기업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장복섭 신용감독국장은 "이달 안으로 주채무계열 평가는 마무리될 것"이며, "선정 기업은 공개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장 국장은 공개 하지 않는 이유를 "주채무계열은 선제적으로 관리하자는 취지에서 도입했는데 명단이 공개되면 부실기업으로 각인돼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채무계열 평가와는 별도로 금감원과 은행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기 신용위험 평가도 진행하고 있다. 대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대상은 7월 말에, 중소기업은 11월에 확정할 예정이다. 평가 결과는 A·B·C·D 4단계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C등급은 워크아웃, D등급은 법정관리를 받게 된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