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영 기자]최근 5년간 소비자가 잃어버린 휴대전화가 568만 대에 달하고 이로 인한 소비자 피해는 565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분실한 휴대전화를 다시 찾을 확률은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 분실로 연간 5600억 넘게 소비자 피해가 발생함에도 제조사와 통신사들이 이용자 보호에 뒷짐만 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녹색소비자연대 정보통신소비자정책연구원(이하 녹소연)은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통 3사는 지난 2011년부터 5년 동안 1318만 4000건의 휴대전화 분실신고를 접수했다고 23일 밝혔다.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계산하면 연간 5650억원에 달하는 소비자 피해가 발생한다고 지적했다.

또 이통사와 제조사들이 수십 개에 달하는 홍보용 앱을 단말기에 넣는 반면, 이용자 보호앱은 없다고 비판했다. 갤럭시S7 선탑재앱 55(이하 SKT 기준), G5 선탑재앱 73개 중 분실방지와 같은 이용자보호앱이 하나도 없었다는 설명이다.

그 대신 분실보험 가입자만 늘어 소비자 부담만 가중시켰다는 것이 녹색연 주장이다. 녹소연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 휴대폰보험 가입자수는 2118만 명으로 조사됐다.

녹소연 윤문용 정책국장은 “지난 5년간 연평균 113만건의 휴대폰 분실이 있었다. 이를 단말기 가격을 50만원으로 계산하면 연간 5650억원에 달한다”며 “이같은 문제에 제조사와 통신사가 나몰라라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박기영 공동대표는 “제조사와 통신사, OS사들은 자사의 이득이 되는 선탑재앱 개발에만 몰두하고 있다”면서 “기본적으로 우월적 지위를 남용한 자사홍보앱을 선탑재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제도개선과 함께 이용자를 보호하는 앱 등이 선탑재 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박 대표는 소비자 선택권과 보호가 배제된 최신 단말기 선탑재 앱도 꼬집었다. 그는 "단말기 선탑재 앱 개수를 확인한 결과 갤럭시S7은 55개(SK텔레콤 기준), G5는 73개였다"며 "선탑재 앱 다수가 제조사, 통신사의 자사 서비스 홍보 앱이었으며 분실방지와 같은 이용자 보호 앱은 없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