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다 가세 놀다나 가세 저 달이 떴다 지도록 놀다나 가세 아리 아리랑 스리 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 응 응 아라리가 났네.”

진도를 여행하면 누구나 한 번쯤 듣고 흥얼거리는 진도아리랑의 한 대목이다. 현재 전승되는 아리랑은 60여 종 3600여 수에 이른다고 한다. 이 중 진도아리랑, 정선아리랑, 밀양아리랑이 우리나라 3대 아리랑이다. 진도가 어디 있는지 몰라도, 진도아리랑이 무엇인지 정확히 몰라도, ‘아리 아리랑 스리 스리랑 아라리가 났네’하는 가락은 누구나 알만큼 유명하다.

▲ 세방낙조
세마치 장단, 즉 4분의 6박자 혹은 8분의 9박자 국악 장단을 기본으로 한 진도아리랑은 떠는 음, 평으로 내는 음, 꺾는 음이 뼈대를 이룬다. 정선아리랑에서 애절함이 묻어난다면, 진도아리랑에는 육자배기 가락에 구성진 목청이 어우러진 진도 지방 특유의 정조가 있다. 혼자 부르면 유장하고 슬픈 노래지만, 여럿이 부르면 빠르고 흥겨워 신명 나게 한다.

“진도 사람치고 노래 한 가락 못하는 사람 없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진도 사람들은 흥이 있고 노래에 소질이 있다. 예전에는 김매던 아낙네들이 지나는 남정네 앞에 짚으로 엮은 멱서리를 던져 노래를 청하는 관습이 있었다고 한다. 소리 한 가락 멋지게 뽑아내면 시원한 물이나 먹음직스런 새참을 대접받지만, 머뭇거리거나 소리가 신통치 않으면 비아냥을 감수해야 할 정도였다.

지금이야 소리를 청하는 아낙을 만날 수 없지만, 소리하는 아낙은 만날 수 있다. 진도에서 아리랑을 들을 수 있는 곳은 국립남도국악원, 진도향토문화회관, 진도문화체험장 등이 대표적이다. 세 곳 모두 여행자가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생동감 넘치는 공간이다. 진도아리랑을 비롯해 강강술래, 남도들노래, 진도씻김굿, 진도 다시래기 등 중요무형문화재와 진도북놀이, 진도만가, 남도잡가, 진도소포걸군농악, 조도닻배노래 같은 전남무형문화재 등 전통 국악을 공연한다. 국악 공연을 감상하면 왜 진도가 ‘민속의 보고’라고 불리는지 이해가 된다.

▲ 허련이 말년을 보낸 운림산방
국립남도국악원에서는 매주 ‘금요 상설 공연’이 펼쳐진다. 대학에서 소리, 무용, 기악을 전공한 전문 단원들이 기악합주, 무용, 가야금병창, 민요, 사물놀이, 판소리 등 수준 높은 공연을 선사한다. 때로는 흥겹고, 때로는 진중하고, 때로는 애잔한 국악의 매력에 젖어드는 시간이다. 보는 데서 그치지 않고 체험도 가능하다. ‘주말 문화 체험’에 참여하면 1박2일간 민요나 장구, 강강술래를 배울 수 있다. 국립남도국악원 내 숙박 시설을 이용한다.

진도향토문화회관에서는 매주 토요일 오후 2시와 7시 ‘진도 토요 민속 여행’이 펼쳐진다. 국립남도국악원이 정악 위주 공연을 하는 데 비해, 진도군립민속예술단이 펼치는 공연에서는 진도의 색채가 강하게 묻어난다. 진도아리랑을 관객과 함께 부르고, 강강술래에 담긴 ‘남생이 놀이’ ‘청어 엮기’ ‘기와 밟기’ 등 다양한 놀이도 선보인다. 양손에 북채를 쥐고 장구처럼 치는 진도북놀이는 소리와 움직임이 어우러져 흥을 돋운다. 진도씻김굿, 진도 다시래기, 진도만가 등은 망자를 주제로 한 진도 지방 특유의 장사 문화를 보여준다.

진도문화체험장에서는 매주 목·금·토요일 오후 4시와 7시에 공연이 열린다. 진도민속문화예술단원들이 진도아리랑, 북춤, 진도만가, 진도엿타령 등을 선보이는데 관객과 어우러지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공연을 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관객에게 진도아리랑을 한 구절씩 알려준 다음 소리를 시키기도 하고, 함께 강강술래를 하며 신명 나는 시간을 공유한다. 여행 중에 짬을 내 진도 문화를 체험하기에 적합하다. 관람료는 5000원으로, 홍주를 비롯한 진도 특산품을 시식하며 공연을 즐길 수 있다.

진도는 소리 못지않게 그림으로도 유명하다. 그림은 남종화의 대가인 소치 허련으로 상징된다. 소치는 진도에서 태어나, 28세 때 해남 대흥사 일지암에 기거하던 초의선사 밑에서 공재 윤두서의 화첩을 보며 그림을 배웠다. 33세 때 초의선사의 소개로 추사 김정희를 만나 본격적인 서화 수업을 받았다. 김정희는 중국 원나라 4대 화가 중 한 사람인 황공망을 ‘대치’라 한 것에 비유해 허련을 ‘소치’라 했다. 운림산방은 허련의 아들 미산 허형, 손자 남농 허건 등을 거쳐 5대째 화가 가문의 맥을 이어가고 있다.

운림산방은 허련이 1856년 스승 추사가 세상을 떠나자 고향으로 돌아와 지은 집이다. 이곳에서 작품 활동을 하며 여생을 보냈다. 주위에 아침저녁으로 피어오르는 안개가 구름 숲을 이뤄 운림산방이란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ㄷ자 기와집인 본채와 초가로 된 사랑채, 새로 지은 기념관으로 구성된다. 운림산방 앞에 네모난 연못이 있고, 가운데 섬에는 배롱나무가 있다.

이순신 장군이 명량해전의 승전보를 울린 울돌목은 진도의 대표적인 명소다. 해남군과 진도군을 잇는 진도대교가 놓인 바다가 울돌목이다. 울돌목은 ‘소리 내어 우는 바다 길목’이라는 뜻의 순우리말이다. 이를 한자어로 바다가 운다고 해서 울 ‘명’에 대들보 ‘량’을 써서 명량이라고 부른다. 폭 294m에 불과하지만 물살이 세고 소용돌이가 쳐서 그 소리가 해협을 뒤흔들 정도라고 한다.

원균이 다대포와 칠천곡에서 대패한 뒤 해상권을 잃자, 다시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된 이순신이 울돌목에서 왜선 133척을 맞았다. 이때 선조에게 “신에게는 아직 전함 12척이 있습니다”라는 장계를 올리고, 수군에게 “必死則生 必生則死(필사즉생 필생즉사)”라고 한 말이 유명하다. 명량해전에서 조선 수군은 왜선 31척을 무찌르고 해상권을 회복했다.

진도 여행의 대미는 세방낙조 전망대에서 장식한다. 진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일몰이지만, ‘진도 낙조’ 하면 세방낙조가 첫손에 꼽힌다. 점점이 솟은 작은 섬 사이로 서서히 내려앉은 태양이 순식간에 바다로 빨려 들어가면서 빚어내는 풍경이 환상적이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