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호기자]보수 성향의 월스트리트 저널(WSJ)은 홍준표 후보에 깊은 관심을 표명했다.

WSJ는 20일(현지시간) ‘북한의 핵 위협이 한국에서 아웃사이더의 대선 희망에 불을 지피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한국의 대선전을 조망했다. WSJ는 “집권당의 홍 후보는 반올림할 때 생기는 ‘오차’ 수준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나 이제 북한과의 긴장 고조로 인해 새로운 희망을 찾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WSJ는 자유한국당의 홍 후보를 트럼프와 같은 ‘아웃사이더’로 평가했다. 이는 지금까지 대선전이 야당 후보 간 맞대결 양상으로 진행돼온 것을 염두에 둔 해석인 것으로 보인다.

WSJ는 “홍 후보가 (대북) 강경 노선과 북한에 공세적인 접근책을 택한 트럼프 대통령과의 연대를 통해 한국 유권자들에게 매력적인 후보로 점점 다가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 후보는 북한의 핵 위협에 맞서 전략 핵무기의 한반도 재반입을 주장하고 있다고 이 신문이 전했다.

홍 후보는 문 후보를 ‘반미친북 후보’로 몰아세우고 있다고 문 후보 측은 홍 전 경남지사를 ‘극우 후보’로 부르고 있다고 이 신문이 소개했다.

WSJ는 “홍 후보가 여전히 당선될 가능성은 희박하다”면서 “그렇지만 그가 갤럽 조사를 기준으로 불과 6주 전에 1%도 안 되는 지지율을 7%까지 끌어올렸다”고 전했다. 더욱이 홍 후보는 5월 9일 선거에서 문 후보가 당선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는 ‘스포일러’(훼방꾼)로 떠올랐다고 WSJ이 분석했다.

WSJ는 “선두 주자인 문 후보가 북한과의 화해를 모색하고, 미국에 보다 독립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선거전의 모멘텀이 잦아들고, 수세에 몰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WSJ는 “홍 후보의 득점과 북한에 보다 강경한 자세를 취한 안철수 후보의 부상은 국내 이슈에 주로 초점이 맞춰졌던 선거전에서 국가 안보의 중요성이 갑자기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문 후보는 당선되면 미국보다 북한을 먼저 방문하고, 자신의 저서에서 미국에 ‘노’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고 WSJ이 전했다. WSJ는 스콧 시맨 유라시아 그룹 한국 분석가가 문 후보의 당선 확률이 3월에는 70%였으나 이제 55%로 내려간 것으로 분석했다고 소개했다. 홍 후보는 WSJ와 인터뷰에서 자신이 대통령이 되면 트럼프와 호흡이 잘 맞을 것이지만 문 후보가 되면 트럼프 정부와 충돌할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WSJ는 그러나 “문 후보와 안 후보도 트럼프 대통령과 긴밀하게 조율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안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과 같은 미국의 와튼 스쿨 동문이라는 유대감을 내세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실용주의 노선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보였고,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에도 찬성 쪽으로 돌아섰다고 이 신문이 전했다.

 
한편 워싱턴 포스트(WP)는 지난 17일(현지시간) “트럼프 정부가 북한에 대한 고강도 압박 조치를 취하면서 한국 등 동맹국의 협력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한국 차기 정부의 깊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김정은의 목줄을 바짝 죄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WP는 한국 대선에서 양강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문 후보는 좌파 성향의 정당 출신이고, 안 후보는 그에 비해 약간 중도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평가했다. WP는 “문 후보의 정책이 안 후보에 비해 트럼프의 정책과 충돌할 가능성이 더 크지만 문· 안 후보 모두 트럼프 정부와 핵심 이슈에 있어서 서로 근접해 있지가 않다”고 지적했다.

문 후보는 집권 후 사드 배치 문제를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안 후보는 사드 배치에 찬성하고 있다. 그러나 안 후보도 중국이 나서서 북한 문제를 해결한다면 사드를 한반도에 배치할 필요가 없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WP가 전했다. WP는 “이 문제가 어떤 식으로 결론이 나든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shoulder to shoulder)하겠다는 메시지는 종언을 고하게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후보가 주장하는 개성 공단의 확장 건설 방안도 트럼프 정부와 정면 충돌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WP가 강조했다. 개성 공단 사업이 재개되면 북한에 다시 돈을 흘러들어가 대북 제재 조치가 무력화될 것이라고 이 신문이 지적했다. 트럼프 정부도 한국의 정치 혼란 사태가 대북 전략을 추진하는데 도전이 될 것이라는 점을 잘 인식하고 있다고 WP가 보도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