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희 기자] 원자력발전소 방사능 누출 사고의 최후 보루인 콘크리트 방호벽(한빛 4호기 상부 원형 돔과 하부 경계지점)에서 미채움부 공극으로 인한 배면부식이 발견되었지만, 광주시가 한빛원전과 개설한 핫라인은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

   두께 기준 미달 부위 120개가 발견됐고 CLP 뒷면 일부구간에서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아 공극으로 수분이 침투되어 배면부식이 진전된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이 원전 측의 입장이다.

  2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12월21일부터 한빛원전과 핫라인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광주시는 그 동안 원자로 사고·고장이나 운영 상황을 문자메시지로 받아왔지만 자세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라인은 없었다. 핫라인 개설은 이 같은 정보 공유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지난달 26일 언론 보도, 다음날 원자력안전위원회가 한빛원전 4호기 방호벽에서 콘크리트 공극으로 인한 배면부식을 발견했다고 공식 발표할 때까지 광주시는 원전으로부터 어떤 연락도 받지 못했다.

   또한 한빛원전 내의 방사성폐기물은 지상 1층 가건물에 임시 보관(경주에서는 지하 50미터 아래에 안전하게 영구 저장하고 있고, 지역발전기금도 4,000억 원 이상 받고 있다)돼 있는 상태로 이로 인한 안전성에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나, 현재까지 처리시설 부지 선정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광주시 한 관계자는 "원전 측이 주민 대표 등에게 알리는 과정에서 언론에 먼저 보도됐고 원안위가 기자회견을 하게 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원전에 문제가 일어났을 때 보통 원안위의 통제를 받은 뒤 지자체에 정보를 제공한다. 정보를 받는 과정에 애로사항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 동안 한빛원전은 잦은 고장과 운전정지에 대해 철저한 원인규명도 없이 재가동하고 있어 전 도민들의 불안감은 극에 달하고 있어 확실한 안전대책이 수립될 때까지 한빛원전 가동 전면 중단을 촉구했다.

   인구 150만 명이 거주하고 있는 광주는 한빛원전과 직선거리로 33~64㎞에 위치해 있다. 한빛원전에서 사고가 날 경우 방사성 물질이 광주까지 도달하는 데는  4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되어져, 광주지역 환경단체와 시민들은 원전 사고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에 광주시는 지난 1일 한빛원전을 찾아 "민감한 사안인 만큼 최소한 전남도 수준의 신속한 정보 제공"을 또 한 번 간절히 부탁했다.

   시는 이와 별도로 원안위와 행정안전부에 공문을 보내 '한빛원전안전협의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빛원전안전협의회는 한빛원전 안전문제에 있어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를 원전과 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에 전달하거나 요구할 수 있는 유일한 창구다. 한빛원전에 문제가 있을 때 가장 빠르게 정보를 제공받는다.

   현행법상 한빛원전안전협의회는 비상계획구역 범위(30㎞) 내 지역만 운영한다. 전남의 경우 영광과 장성, 함평, 무안 일부가 포함됐지만 최소거리가 33㎞에 불구한 광주는 제외됐다.

   시 관계자는 "원전과의 핫라인을 제대로 구축하고 안전협의회에 참여할 수 있다면 보다 빠르게 원전과 관련한 정보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원전 문제와 관련해 광주지역 대책 등을 마련해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기태 안전건설소방위원장(더민주, 순천1)은 "철저한 원인규명과 진상파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전남도의회 차원에서 한빛원전 가동중지와 폐쇄 운동을 강력하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