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째 자본잠식 상태에 빠져있는 대한석탄공사(석탄공사)가 좀처럼 경영 정상화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공공기관운영위원회(공운위)는 지난 2월 중점관리 대상 기관들이 정상화계획을 제출했을 때 석탄공사, LH, 코레일, 철도시설공단, 수자원공사 등 5개 기관에 대해서는 보완을 지시했다.

석탄공사를 제외한 4개 기관은 3월 말 보완 계획을 제출하고 공운위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석탄공사는 제출 시기를 연기해달라고 요청했다. 정부와 공사, 전문가가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정상화계획을 마련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이유였다.

하지만 석탄공사는 최근 정부에 정상화계획을 제출하기로 한 기한(4월 말)을 넘긴 채 또 한 차례 연기해달라고 요구했다.

현재 295개 공공기관 가운데 정상화 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곳은 석탄공사 한 곳 뿐이다. 자산 매각이나 구조조정 만으로는 부채를 해소하기 힘든 상황이어서 공사 스스로 생존 방안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2013년 말 현재 석탄공사의 자산총액은 6989억4000만원, 부채총액은 1조5266억6500만원이다. 자본잠식 상태로 부채가 자산의 두 배를 웃돈다. 또 매년 수백억원 대의 손실을 내고 있다. 지난해에도 석탄공사는 823억9700만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올 2월 정부에 제출한 정상화계획으로는 2017년까지 자본잠식 상태를 벗어날 수 없고 적자 규모도 거의 줄어들지 않는다.

가장 큰 문제는 석탄을 판매할 때마다 적자가 생기는 수익구조다. 지난해 석탄공사의 매출은 2155억3100만원, 매출원가는 2308억4500만원에 달했다. 사업을 계속할수록 손해가 커지고 부채가 쌓이는 구조다. 주요 수익원인 연탄 부문의 수익성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연탄 판매가격이 제조원가보다도 낮다.

연탄이 주로 저소득 가정의 난방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가격을 올려 수익성을 확보하기도 쉽지 않다. 또 워낙 부채 규모가 큰 탓에 자산 매각과 인력 구조조정 만으로 정부가 요구한 부채 감축 목표(약 2000억원)를 달성할 수도 없다.

산업부와 석탄공사는 에너지 전문가 등을 중심으로 TF를 구성해 생존 방안을 논의하고 있지만 마땅한 대안을 내지 못하고 있다.

일부 탄광을 매각해 부채를 줄이고 연탄 공급 기능만을 남겨 재무 구조가 튼튼한 광해관리공단과 통폐합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통폐합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며 "5월 중으로는정상화방안에 대한 결론을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통폐합에 대한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다. 한 기관의 경영 부실을 다른 기관으로 이전하는 결과가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광해관리공단은 한해 500~600억원의 이익을 내고 있지만 석탄공사와 통합될 경우 재무구조가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