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세먼지에 갇힌 서울 여의도'
[신소희 기자] 미국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초미세먼지 발원지인 중국에서 건네받은 자료조차 공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현재 정부가 중국 미세먼지 농도를 관측하기 위해 운영하는 장비는 없다. 2005 년부터 기상청이 설치·운영해온 관측망이 일부 있지만 관측 대상은 황사(PM10)로, 이 측정된 자료조차 공개되지 않는다고 했다. 
 
우리나라는 2015 년 중국과 '환경 대기질 및 황사 측정자료 공유에 관한 협약'을 맺고 중국 35 개 도시의 실시간 초미세먼지 측정자료와 40 개 지방도시의 황사 측정자료를 공유하기로 했지만 협약에 따라 공유받은 자료는 예·경보에만 활용할 수 있을 뿐 공개돼선 안 된다는 것이다. 
 
반면 미국은 베이징에 있는 주중대사관을 비롯해 상하이, 광저우, 선 양에 있는 자국 영사관 등 총 5 곳에서 직접 초미세먼지를 측정해 국 무부가 운영하는 홈페이지(www.stateair.net)에 매 시간 공개하고 있다. '해외에 살 거나 여행하는 미국 시민에게 대기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라는 게 그 이유이다. 

이에 따르면 베이징의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2009년 102㎍/㎥에서 2010년 104㎍/㎥, 2011년 99㎍/㎥에서 최근 크게 줄어 2016년 73㎍/㎥, 지난해에는 58㎍/㎥까지 내려간 상태다. 여전히 우리나라 기준으로 ‘나쁨’ 단계이지만 8년 새 43%나 줄어든 것이다.

한편 일부 전문가들은 국내 미세먼지 오염 가운데 중국 오염물질 비 중이 연간 전체로 30~50%이고 겨울철 심할 때는 80% 안팎까지 올라 간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