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화면 캡쳐
[김민호 기자]지역구에서 아깝게 떨어진 후보를 비례대표로 구제하는 것이 석패율 제도다. 한국당을 제외한 야 3당은 도입에 합의를 했는데, 민주당은 이를 거부했다.

민주당은 2시간이 넘는 의원총회 끝에 야 3당이 합의해 온 '석패율제를 다시 생각해 달라'고 요청한 것.

연동형 '캡'과 석패율 제도는 4+1 협상의 최대 쟁점이다. 비례대표 50명 중 몇 명을 연동형 '캡'으로 할지, 즉 한도를 얼마를 둘지, 논란이었는데, 결국 30명으로 의견을 모았다. 또 한가지, 석패율제는 아깝게 떨어진 지역구 후보를 구제하는 제도인데, 여전히 이견이 적지 않다.

그렇다면 연동형 캡과 석패율, 정확히 어떤 제도인지, 누구에게 유리한 것인가

첫번째 논란은 4+1 협의체가 합의한 비례대표 50석 중 몇 석을 '연동형'으로 뽑을까이다.

'연동형' 의석수가 많으면 거대정당은 불리하고 군소정당은 유리하다. 민주당, 당연히 줄이고 싶어하는 데 그래서 캡, 한도를 두자는 것이다. 그게 30석이다. 결국 비례 50석 가운데 연동형은 30석의 '캡', 상한을 두고 20석은 현행처럼 뽑자는 데 의견이 모아진 상태이다.

그런데 민주당이 한도를 두려는 이유, 또 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위성 정당이 고려되고 있다'라고 하는 여러 가지 정황과 내용들이 있기 때문에요. 비례제도 전체에 대해서 상당히 그 근간을 흔들 수 있는 우려가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했다.

한국당이 비례한국당 같은 비례정당을 만들어 10% 정도 정당 득표를 한 뒤 나중에 합당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실제 한 정당이 정당득표를 10% 얻는 경우 한도가 없으면 비례 15석을 얻는 데, 30석 캡이 있으면 11석 안팎으로 줄게 된다.

막판 발목을 잡은 건 석패율제입니다. 각 당의 지역구 출마자가 비례 후보에도 이름을 올린 뒤 가장 아깝게 떨어진 사람은 구제하는 제도이다. 권역별로 할 수도, 전국 단위로 할 수도 있다.

영남에서 민주당, 호남에서 한국당 당선자가 나올 수 있어 지역주의 약화 장점이 있지만, 인지도가 높은 중진이 '석패자'가 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중진 구제용이라는 비판도 있다.

민주당은 도입하지 말자, 나머지 3+1 정당은 권역별로 한 명씩 6명은 하자, 맞서고 있다.

석패율제가 도입되면 각 정당마다 지역구 후보를 최대한 많이 내고 끝까지 최선을 다하게 된다. 범 진보계열 군소정당과 표 대결을 해야하는 민주당, 속내는 부담일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