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금을 설득하는 작업에 들어가..

▲ KDB산업은행
산업은행이 '동양사태' 때와 달리 동부그룹에 대한 자금 지원을 적극 추진하는 것은 동부그룹의 차입이 금융권을 중심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동양그룹의 경우 차입금 대부분이 기업어음(CP)으로 구성됐던 반면 동부그룹은 금융권을 통한 여신과 회사채 위주인 만큼 상대적으로 차환 발행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27일 금융권과 증권업계에 따르면 전일 동부제철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동부제철과의 자율협약 체결을 앞두고, 회사채 차환발행심사위원회(차심위) 구성원인 신용보증기금을 설득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이는 다음달 7일 만기가 도래하는 동부제철 회사채 700억원에 대한 차심위의 차환발행 승인을 전제한 것이다. 만약 신보가 차환발행에 동의하지 않으면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이 불가피하다.

산업은행의 이같은 모습은 '동양사태' 때와 대조되는 것이다.

산업은행은 그 당시 "이미 여신을 제공한 ㈜동양과 동양시멘트가 자금 지원을 요청하면 검토할 수 있지만 동양그룹에 대한 추가 자금 지원은 어렵다"고 주장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당시 동양의 경우 채권단이 자율협약을 한다 해도 해결될 문제가 아니었다"면서 "그러나 동부는 채권단이 동의를 하면 상당 부분 많은 여신이 커버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당시 동양그룹이 은행권에서 빌린 자금은 6000억원에 불과했던 반면 CP 등 비협약채권은 2조원을 웃돌았다.

이러다보니 주채무계열 대상에서 제외돼 채권단을 통한 조정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은행이 굳이 추가로 자금을 지원하면서까지 개인투자자들의 손해를 보전해 줄 필요가 없었다는 것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CP는 누가 보유하고 있는지도 명확하지 않아 실질적인 차환 가능성이 낮을 수 밖에 없다"며 "그 상황에서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할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동부그룹은 차입구조가 금융권 여신과 회사채 위주여서 지원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편이다. 현재 동부그룹의 금융권 차입금은 약 3~4조원 수준이지만 CP 발행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 관계자는 "금융권 차입금은 만기가 길고, 담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에 큰 문제가 없다면 연장이 가능하다"며 "회사채 역시 '회사채 신속인수제' 같은 법적 지원 장치가 있어 차환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신보는 회사채 차환발행에 신중한 입장이다.

신보 관계자는 "자율협약에 대한 찬성과 반대 가능성을 놓고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불확실성을 해소할 구체적 방안 없이 동부제철 회사채 차환발행에 찬성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