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장 계열사 지분 통해 지배력 유지

 
일감 몰아주기 등 경제민주화 법안들이 대거 도입됐지만 삼성, 현대자동차 같은 오너기업들의 내부지분율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비상장 계열사 지분을 통해 그룹 지배력을 여전히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총수가 있는 40개 대기업집단의 내부지분율은 54.7%로 전년(54.8%, 43개 집단)보다 0.1% 포인트 낮아지는데 그쳤다고 10일 밝혔다.

올해 내부지분율이 높은 STX(56.5%), 동양(46.9%), 웅진(61.5%) 3곳이 대기업집단에서 지정제외됐지만 삼천리가 신규집단으로 지정되면서 전체적인 내부지분율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공정위가 발표한 대기업집단의 주식소유현황을 보면, 내부지분율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계열사 지분율(48.3%)은 전년보다 0.2% 포인트 증가한데 반해, 총수일가(4.2%)와 비영리법인·임원 등(2.2%)의 지분율이 전년보다 각각 0.2%, 0.1% 포인트 감소하는데 그쳤다.

총수가 있는 대기업집단의 경우 비상장사 내부지분율은 74.7%로 상장사 내부지분율(39.1%)보다 35.6% 포인트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총수가 없는 집단의 경우, 비상장사의 내부지분율은 10.4% 상장사 내부지분율(13.5%) 보다로 오히려 낮았다.

공정위는 "내부지분율 변동은 계열사간 합병, 증자·감자, 계열사 편입·제외 등 기업 구조조정과 일부집단의 신규지정이 일부 변동을 초래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기업집단별로 전년 대비 한국타이어(7.5%), 부영(7.1%), 한라(6.7%), 태영(3.8%), 오씨아이(2.8%), SK(1.41%), 삼성(0.15%), 현대자동차(0.12%)는 내부지분율이 증가했고, 두산(10.7%), 동국제강(7.1%), 대성(4.4%), 영풍(4.2%), 동부(3.1%), LG(1.05%)는 감소했다.

총수가 있는 대기업집단의 내부지분율은 2010년 50.5%에서 2011년 54.2%, 2012년 56.1%까지 증가한 이후 2013년 54.8%, 2014년 54.7%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상위 10대 대기업집단 가운데는 1~4위 대기업집단의 내부지분율이 48.3%로 지난해(48.1%)에 비해 0.2% 포인트 늘어났고, 5~10위 대기업집단의 내부지분율은 59.2%로 전년(60.8%)대비 1.6% 포인트 감소했다.

전체 63개 대기업집단의 내부지분율은 28.7%로 전년(31.7%, 62개)보다 3.0% 포인트 감소했다. 총수가 없는 23개 대기업집단의 내부지분율은 10.7%로 전년(12.3%)보다 1.6% 포인트 감소했다.

공정위는 "총수가 있는 집단은 총수가 없는 집단보다 출자구조가 복잡하다"며 "특히,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지 않은 일반집단은 복잡한 출자관계를 통해 보유하고 있는 금융보험사가 순환출자의 핵심고리를 담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