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빛포럼 대표/금감원 국장, 런던사무소장
"고개를 들고 하늘을 봐도 허공을 맴도는 뜬구름 고개를 숙여 땅을 봐도 뒹구는 건 낙엽뿐이네. 어차피 가는세월 잡을 수도 막을 수도 어쩔수없는데 돌아서서 눈물짓는 한심한 사람아, 잊을  건 잊어요. 버릴 건 버려요. 그리고 남은 인생 웃으며 살아갑시다. 고개를 들고 하늘을 봐도 외로운 기러기 한 마리 고개를 숙여 나를 봐요. 보이는건..."
 
나훈아의 노래 '남은 인생'이란 곡의 가사다. 한(恨) 많은 이 세상 어느날 갑자기 소리없이 훌쩍 떠날 적에 돈도 명예도 사랑도 미움도 가져갈 것 하나 없는 빈 손이요, 동행해 줄 사람 하나 없으니 자식들 뒷바라지 하느라 다 쓰고 쥐꼬리 만큼 남은 돈 있으면 자신을 위해 아낌없이 다 쓰고 가는 것은 어떨까
 
오늘은 남은 인생,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글을 소개한다.
 
백년 전쟁 때 영국의 태자였던 
에드워드의 묘비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지나가는 이여!, 나를 기억하라! 지금 그대가 살아 있듯이 한 때는 나 또한 살아 있었노라! 내가 지금 잠들어 있듯이 그대 또한 반드시 잠들리라,”
 
어느 성직자의 묘지 입구에도 비슷한 내용이 있다.
“오늘은 내 차례, 내일은 네 차례”라고 적어 삶이 유한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유럽을 정복한 알렉산더대왕은 다음과 같은 유언을 남겼다.
“내가 죽거든 나를 땅에 묻을 때 손을 땅 밖으로 내놓아라. 천하를 손에 쥐었던 이 알렉산더도 떠날 때는 빈손으로 갔다는 것을 이 세상사람들에게 알려 주기 위함이다.”
 
유명한 헨리 8세의 딸로서 왕위에 오른 엘리자베스 1세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 훌륭한 정치수완을 발휘해 영국의 왕정을 반석에 올려놓았다.
그러나 그 역시 묘비명에는 다음과 같은 짧은 말을 남겼다.
“오직 한순간 동안만 나의 것이었던 그 모든 것들!!”
 
임마누엘 칸트(1724~1804)는 수십 년 동안 규칙적으로 산책했다. 사람들은 그가 산책하는 것을 보고 시간을 짐작했다고 한다. 그랬던 칸트도 임종이 가까워지자 침대에 누워 있을 수밖에 없었다. 
하물며 먹을 수도 없었다. 하인은 칸트가 목이 마를까 봐 설탕물에 포도주를 타서 숟가락으로 조금씩 떠먹였다.
어느 날 칸트가 더는 그것을 마시고 싶지 않다는 뜻으로 “이제 그만”이라고 말했다.
그것이 칸트가 남긴 마지막 말이다.
 
교보문고가 발표한 세계문학 선호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50~60대가 꼽은 1위작이 ‘그리스인 조르바’였다.
저자 '니코스 카잔차키스'가 건네는 자유와 해방의 목소리가 좋았나 보다. 
그의 뜻은 묘비명에 잘 나타나 있다.
“나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다.”
 
몇 년 전 시애틀타임스는 6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여성작가 제인 로터의 부고를 실었는데 이 부고를 쓴 사람은 바로 작가 자신이었다.
그는 삶이란 선물을 받았고 이제 그 선물을 돌려주려 한다면서 남편에게 쓴 유언에
“당신을 만난 날은 내 생에 가장 운 좋은 날이었다”고 전했다. 
죽음 앞에서도 의연하고 살아 있는 사람을 배려하는 모습이 감동을 준다.
 
중국의 동산 선사는 살아 있을 때는 철저하게 삶에 충실하고 죽을 때는 철저하게 죽음에 충실하라고 가르쳤다. 
그가 죽기 전 남긴 말은 다음과 같다. 
“이생은 멋진 여행이었다. 다음 생은 어떤 여행이  나를 기다리고 있을까?”
 
이 밖에도 많은 묘비명이 있지만 
제일 쇼킹한 것은 버나드 쇼(1856~1950)의 묘비명이다. 
그는 1950년 사망할 때까지 극작가·평론가·사회운동가 등으로 폭넓은 활동을 하면서 1925년에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당시 인기 절정이었던 무용가 '이사도라 던컨'이
“저와 같이 뛰어난 용모의 여자와 당신처럼 뛰어난 자질의 남자가 결혼해 2세를 낳으면 훌륭한 아기가 태어날 것”이라며 구혼의 편지를보내오자,
 버나드 쇼는 “나처럼 못생긴 용모에 당신처럼 멍청한 아기가 태어날 수도 있지 않겠소”라며 거절했다.
 
이렇게 오만함과 익살스러움으로 명성을 떨쳤던  버나드 쇼는 94세까지 장수하며 자기의 소신대로 살았다.
하지만 그가 남긴 묘비명이 충격적이다.
“내 우물쭈물하다가 이렇게 될 줄 알았다.”
 
그는 동서양에 걸쳐 명성을 떨치고 의미 있는 삶을 살다간 문인이요, 철학자며 노벨상까지 받은  인물이다. 
 
이런 사람이 자기의 삶을 되돌아보며 우물쭈물했다고 자평한 것이다.
그도 삶의 마지막 순간에 정말 중요한 것을 놓치고 살았다고 후회했을까?
 
해가 바뀐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12월  중순! 
세월은 이처럼 유수같이 흘러간다.
 
앞으로 남은 시간은 더 빨리 지나갈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영원히 살 것처럼 생활하다가
임종이 다가와서야 쩔쩔매며 후회한다.
먼저 살았던 사람들의 묘비명이 그것을 말해준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그들이 알려주는 조언을 듣고 똑같은 후회를 반복하지 않도록 준비하는 것이다.
 
자신이 사후에 어떻게 기억됐으면 하는지 생각해보는 것도 좋다. 
남은 생은 그렇게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과정이다. 
바쁜 일상 속에서 잠깐 일손을 멈추고 자신의 묘비명을 그려보는 것도 인생 2막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의 경지에는 이르지 못하더라도 누군과와의 비교하지 않은 나만의 삶, 
현재의 처지와 입장을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겸허한 나만의 삶이 자신을 풍요롭게 할 것으로 믿어본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