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리야드, 119표로 유치 성공…부산은 29표 그쳐
최태원·정의선, 마지막까지 자리 지켰지만 아쉬운 결과
"유치전 통해 한국 기업들 글로벌 위상 높였다" 위안

덕수 국무총리,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박형준 부산시장, 장성민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등 참석자들이 28일 오후(현지시간) 프랑스 르 팔레 데 콩크레 디시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 제173회 총회에서 2030 세계 엑스포 개최지 선정 투표 결과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국무총리실 제공)
덕수 국무총리,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박형준 부산시장, 장성민 대통령실 미래전략기획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등 참석자들이 28일 오후(현지시간) 프랑스 르 팔레 데 콩크레 디시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 제173회 총회에서 2030 세계 엑스포 개최지 선정 투표 결과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국무총리실 제공)

[김승혜 기자]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 개최지가 대한민국 부산이 아닌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로 확정됐다. 지난 2년간 물심양면으로 지원을 펼친 한국 기업들은 안타까움을 드러내면서도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이 한 단계 도약했다며 아쉬움을 달랬다.

부산은 2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의 '팔레 데 콩그레 디시'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제173차 총회 투표에서 총 165표 중 29표를 받는데 그쳤다. 리야드는 투표 회원국 중 3분의 2(110표) 이상인 119표를 획득해 결선 투표 없이 개최지로 결정됐다.

4대 그룹 총수들 모두 나섰지만…아쉬운 결과 받아

총수들까지 나서 막판 총력전을 벌인 삼성, 현대차, SK, LG 등 국내 4대 그룹들은 이번 부산 엑스포 유치전을 전폭적으로 지원해온 만큼 큰 실망감을 나타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최종 투표일까지 파리를 지키며 마지막 한 표를 얻기 위해 분투했지만 유치에 실패했다. 감기 투혼까지 보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 역시 막판까지 최선을 다했지만 안타까운 결과를 받았다.

특히 최 회장의 경우 지난달부터 '메종 드 부산(부산의 집)'이라는 거주 공간을 파리에 마련하고 BIE 회원국들이 몰려있는 중남미, 유럽 7개국을 순회하는 등 강행군을 펼쳤지만 아쉬운 결과에 고개를 숙였다. 

재계 관계자는 "여러 차례 국제대회를 통해 보여준 국민적 역량을 다시 한번 모을 좋은 기회였는데 유치가 좌절된 데 대해 아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재계 또 다른 관계자도 "엑스포가 어려운 글로벌 경영 환경 속에서 국가적 재도약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했던 만큼 재계의 일원으로서 아쉬움이 크다"고 밝혔다.

경제단체들도 침통한 분위기다.

최 회장과 함께 이번에 부산엑스포 유치지원 민간위원회 사무국 역할을 맡은 대한상공회의소는 깊은 실망감을 나타냈다. 단 대한상의는 엑스포 유치 후발주자로 막판 선전을 거둔 것에 위안을 얻고 있다.

대한상의는 "국민들의 단합된 유치 노력은 대한민국의 국가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렸을 뿐 아니라 한국 산업의 글로벌 지평도 확대하는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

재계에서는 다만 이번 엑스포 유치전을 통해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 위상을 높이는 기회가 됐다고 자평한다.

특히 홍보 기간 중 우리 기업과 브랜드의 글로벌 인지도 강화, 코로나 기간 중 못했던 신시장 개척, 공급망 다변화, 새로운 사업 기회 확보 등 부수적으로 의미 있는 성과를 얻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도 "엑스포 유치 노력 과정에서 이뤄진 전 세계 다양한 국가들과의 교류 역시, 향후 한국 경제의 신시장 개척의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논평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도 "이번 유치활동은 경제·문화적으로 발전된 대한민국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됐을 뿐 아니라, 세계 각국의 많은 정상들과 만남을 통해 폭넓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국가의 위상을 높이는 큰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엑스포 실패 별개로 부산항 북항 재개발은 지속 추진

부산은 2030 부산세계박람회의 무대가 될 수 있었던 부산항 북항 재개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 엑스포유치홍보지원팀 관계자는 "부산 동구 북항 지역은 엑스포 개최시에는 전시회 부스가 마련되는 공간으로 사용할 계획이었지만 유치가 무산돼 엑스포와 관계없이 재개발 사업으로 바로 돌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부산이 엑스포를 위한 대대적인 준비를 마쳤고 가덕도신공항,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추진을 위해 다음 엑스포에 재도전 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재계 한 관계자는 "엑스포의 생산유발 효과는 43조원에 달하고 18조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주목해야 한다"며 "엑스포 유치가 다른 도시들처럼 부산의 인지도를 상승시키는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어 재도전 하는 것도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