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추세적 반등 제한적"…상저하고 흐름 이어질 전망
'고금리·경기 침체·대출 정책·신규 물량 감소' 주요 변수
전세 사기 여파·매매 수요 임대 수요로 전환…전셋값 상승

[정재원 기자] 2024년 새해를 맞이하는 부동산 시장은 '혼란' 그 자체다. 금리부터 대출 규제, 공급 물량 감소, 총선까지 불확실성이 커진 탓이다.

국내 부동산 전문가들은 부동산 경기침체와 고금리 기조 등의 영향으로 내년에도 올해와 마찬가지로 집값 하락세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하락 폭과 추세적 반등 시기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렸지만, 대체로 '상저하고(上低下高)'의 흐름을 예상했다.

또 상대적으로 주택 수요가 많은 서울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이 급감하면서 전셋값 상승세를 부추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게다가 전세 사기 우려로 인해 비(非)아파트의 전월세 수요가 아파트로 몰리면서 서울과 수도권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내년에도 고금리 기조가 유지되면서 집값이 전반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내년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로 금리와 대출 정책, 신규 입주 물량 감소 등을 꼽았다.

집값 하락 원인으로는 고금리가 우세했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내년에도 올해와 마찬가지로 고금리 기조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며 "금리가 높으면 이자 부담 증가로 주택 수요가 떨어질 수밖에 없고, 주택 임대차 시장에 머물면서 매매시장을 지켜보는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적어도 내년 상반기까지 부동산 시장의 반등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금리 인하 시점이 2024년 상반기보다는 하반기 가능할 것으로 예상돼 내년 상반기까지 지금과 같은 조정 흐름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고금리에 대출 정책 등의 영향으로 추세적 반등이 제한적일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올해 전반적인 경기침체와 고금리, 대출 규제 등이 겹치면서 거래가 줄고, 하락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며 "내년에는 서울 지역은 보합세가 예상되고, 수도권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하락하고, 상반기까지 추세적 반등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내년 하반기부터 집값이 완만한 우상향을 보일 것이라는 전문가 진단도 나왔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도 "내년 하반기에는 금리가 낮아지면 상대적으로 주택 수요 많은 수도권 일부 지역으로 중심으로 주택 수요가 일부 회복되고, 공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집갓이 완만한 우상향의 흐름을 보일 것"이라며 "공급 감소로 인한 증가로 집값이 일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내년 입주 물량 부족에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직방에 따르면 내년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총 30만6,361가구로, 올해(32만 1,252가구)보다 4.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 입주물량은 14만1,533가구로, 18% 감소하는 반면, 지방은 16만 4,828가구로 11%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서울의 공급량은 올해보다 59% 줄어든 1만 2,334가구에 불과하다.

함 랩장은 "다른 지역에 비해 주택 수요가 많은 서울의 입주 물량이 많이 감소하면서 전셋값 상승의 도화선이 될 우려가 있다"며 "수도권 지역은 매매 수요가 임대차 수요로 전환하면서 전셋값 상승을 견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 내년에도 전세 사기 여파로 비(非)아파트의 전월세 수요가 아파트로 몰리면서 전세시장이 양극화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 위원은 "지난해에 전셋값이 크게 하락했는데, 이후 소폭이지만 가격이 상승했다"며 "신규 입주 물량 감소와 전세 사기 여파에 따른 아파트를 향한 전세 수요 증가 등이 전셋값 상승 용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 대표는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감소하고, 전세 사기 여파 등이 맞물리면서 전셋값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입주 물량이 많은 인천 등 수도권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내년 전셋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