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봄 이사철에도 전세난이 예상되고 있다. 전세의 월세 전환이 가속화 되고 있는데다 재건축 이주 수요까지 겹치면서 겨울 비수기에도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수도권은 올해 상반기 아파트 입주물량(3만6469가구)이 지난해 상반기(5만5532가구)와 비교해 1만9000여 가구가 줄어 전세난을 더욱 가중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예고된 전세난속에 한발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을 정리했다.

◇1000가구 이상 대규모 단지를 노려라

올 봄 전셋집을 구한다면 새아파트 입주가 몰린 곳이나 지난해 말 입주가 시작된 곳을 가면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 신규 입주 물량이 많은 곳은 새아파트로 갈아타기 위한 기존 아파트 매물이 나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 수요에 비해 갑자기 공급이 늘어나면 일시적으로 전셋값이 떨어질 수 있어 보다 저렴하게 매물을 구할 가능성이 있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화성시가 가장 많은 1만821가구를 공급한다. 이어 인천 남동구(5887가구), 경기 고양시(2013가구), 경기 수원시(1936가구), 서울 서초구(1918가구), 서울 마포구(1909가구) 등의 순으로 새아파트 입주 물량이 많다.

아파트 규모가 큰 단지 일수록 전세물량이 나올 가능성도 크다. 단지 규모가 큰 만큼 아파트 입주시 잔금 마련을 위해 전세로 내놓는 경우가 많다. 올 상반기 수도권에서 1000가구 이상 대규모 아파트는 총 7개 단지다.

서울에서는 마포구 아현뉴타운을 개발한 공덕자이(1164가구)와 성동구 왕십리뉴타운을 개발한 텐즈힐(1702가구) 등이 4월 입주를 시작한다. 경기도에서는 단연 동탄2신도시 입주물량이 많다. 동탄면 우남퍼스트빌(A15), 호반베르디움(A22)이 각각 2월과 3월에 집들이를 앞두고 있다.

◇홀수해 상반기 입주물량 많은 곳을 살펴라

보통 주택 전세 재계약이 2년마다 돌아오는 것을 감안하면 2011년 상반기와 2013년 상반기 입주 물량이 있던 곳을 살펴보는 것이 그나마 유리할 수 있다.

수도권에서는 2011년 상반기(5만2459가구)와 2013년 상반기(4만294가구) 합쳐 총 9만2753가구가 입주했다. 2011년과 2013년 홀수해 상반기에 입주한 아파트가 가장 많았던 곳은 경기 고양시로 총 8443가구가 입주를 했다.

일산 서구 덕이동 하이파크시티신동아파밀리에2~4단지(2011년 3월 입주)와 탄현동 일산두산위브더제니스(2013년 4월 입주) 등이 입주했다. 이어 경기 김포시(7912가구), 경기 용인시(6871가구), 인천 서구(5540가구), 인천 남동구(5378가구), 경기 성남시(5166가구), 경기 수원시(4892가구) 순이었다.

◇빌라 등 다른 주거상품에도 눈을 돌려라

수도권에서 전세물건을 찾는다면 연립이나 빌라 등 아파트 외 다른 주택 상품으로 눈을 돌려보는 것도 좋다. 거주환경이나 보안 등에서는 아파트보다 조건이 다소 떨어질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전셋집을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신혼부부나 1~2인 가구 등 소규모 세대는 오피스텔이나 도시형생활주택 등도 나쁘지 않다. TV, 냉장고, 세탁기 등 가구나 전자제품이 기본 옵션으로 설치돼 있어 주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보다 저렴한 전셋집을 찾는 다면 재건축 아파트도 살펴 볼만하다. 오래된 아파트이기 때문에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구조상으로도 불편함이 따를 수 있지만 전세매물 가격은 단연 저렴하다.

◇출퇴근 동선, 자녀교육 등 우선 고려해 전셋집 구해야

입주 물량이 많은 곳과 초기 재건축이 진행단지 또는 이주 시점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 단지에서는 비교적 전셋집을 찾기가 쉽고 보다 저렴한 가격에 계약서를 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몇 가지 유의해야 할 점도 있다. 새 아파트 입주가 많은 곳이 입주가 마무리되고 2년차가 되면 다시 전세가격이 주변 시세 수준으로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 대규모 아파트 입주가 몰린 곳 대부분이 경기도에 위치해 있어 출퇴근 동선이나 자녀 교육 문제 등 기존 주거 생활권과도 큰 차이가 없는지 우선 고려해야 한다.

특히 재건축 이주, 철거가 얼마 남지 않은 단지는 2년 계약기간을 채우지 못할 수 있으므로 계약 전에 이점은 꼭 확인해야 한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