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혜 기자] "사람마다 스트레스 극복 차가 나는 것은 뇌 속 스트레스 회복물질 활성화 차이 때문이다"

세계 최초로 국내 의료진에 의해 스트레스 극복 조절물질을 규명해 이같은 내용을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김동구·김철훈(약리학), 강지인(정신과학) 교수팀은 26일 "뇌 속 신호전달 물질을 받아들이는 수용체 중 하나인 ‘대사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5(mGluR5)’가 부족하면 스트레스 회복력이 크게 떨어진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교수팀은 학습과 기억에 관여하는 mGluR5수용체가 스트레스 회복력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고, mGluR5를 제거한 실험용 쥐와 일반 쥐에 위계(Hierarchy) 스트레스·전기자극 스트레스·행동구속 스트레스 등을 동일하게 부여했다.

연구팀은 학습과 기억에 관여하는 mGluR5 수용체가 스트레스 회복력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가정하고, 유전자 조작을 통해 mGluR5을 제거한 실험용 쥐와 일반 실험용 쥐 두 집단을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도록 했다.

몸집이 큰 쥐가 작은 쥐에게 적대적 행위를 통해 서열을 정하는 위계(Hierarchy)스트레스를 비롯해 전기자극 스트레스, 행동구속 스트레스 등을 부여한 뒤 스트레스 상황을 해제한 상황에서 쥐들의 행동을 관찰했다.

그 결과, mGluR5가 제거된 쥐들은 그렇지 않은 일반 쥐들에 비해 실험용 케이지 한쪽 구석에만 머무는 등 지속적으로 행동이 위축된 스트레스 상황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스트레스 상황을 잘 극복한 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쥐보다 mGluR5가 활성화돼 있고 이에 비례해 델타포스비(ΔFosB)라는 스트레스 회복력 물질이 발현된 것을 확인한 것.

김동구 교수는 “체내 스트레스 회복인자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주는 연구결과”라며 “향후 우울증, 불안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등의 질환에 과학적인 대처법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세계적인 뇌과학 학술연구지인 ‘Nature Neuroscience’지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시사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